-
-
사월의 마녀
마이굴 악셀손 지음, 박현용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4월
평점 :
책표지 그림이 상당히 충격적이다.심리학에서 붉은색은 정열,억압,분노 등의 상징이다.붉은색 바탕에 자유를 상징하는 나비,형체가 없는 성충같은 모습의 여자는 환상적인 범죄소설 느낌이 와닿는다.600쪽 분량의 장편소설로,우리에겐 복지 정책이 가장 잘 된 나라로 알려진 스웨덴 작가의 소설이다.책 서두 부분부터 저자의 해박한 물리학적 지식에 경탄하게 된다.책 속의 물리학적 표현의 글들의 매력에 푹 빠져버린다. 스웨덴에 대한 배경 지식을 쌓는 다는 생각으로 읽으면 될 것 같다.어려운 물리학적 배경지식을 쌓으면서 물리학과 챈해질 기회를 만들기에도 좋은 책이다.
이 책은 우리에겐 너무 생소한 스웨덴 작가의 작품이다.1950년대 전후에 태어난 네자매(데실레,크리스티나,마르가리타,비르지타)와 의사 후베르트손이 엮어가는 몽환적인 이야기다.자신이 출산한 기형아 데시레를 입양기관에 맡겨버리고 건강한 세 아이를 입양해서 키우는 엘렌의 실체.4월의 마녀가 보낸 익명의 편지 한 장으로 시작되는 네 자매의 과거로의 여행.
주인공 나(데시레)는 뇌성마비와 간질증상을 가지고 태어난다.데시레는 움직일 수도 없고 말을 할 수도 없다.그러나 그녀의 의사소통 방법은 호흡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모니터에 문장으로 전환된다.그녀는 천문학과 물리학에 능하고,다른 사람의 몸 속을 자유자재로 드나들 수 있는 사월의 마녀다.
크리스티나는 친엄마에게 학대당한 어린시절의 그늘진 기억이 있다.의사로써 성공적인 삶을 살면서도,치유되지 않는 어린시절의 기억은 결벽증,냉소,완벽주의적인 성격으로 나타난다.
마르가리타는 물리학자로써 비교적 성공적인 삶을 살지만,치유받지 못한 어린시절의 기억은 자신을 별가치 없는 존재로 인식한다.그녀는 16세 때 교사에게서 롤리타가 되는 속성을 배운다.성인이 되어서야 그것은 진정한 사랑이 아니었음을 깨닫게 된다.그 어떤 공허감을 주체하지 못해서 사랑하지도 않는 남자들과 성관계를 갖게 된다.
비지르타의 삶이 가장 처절하다.사춘기때 만취상태에서 집단 성폭행 당한후,거리의 여자로 전락한다.술꾼,마약중독자로서의 삶을 살아간다.
이 책은 스웨덴의 역사를 조금은 알아야 재미가 있겠다.등장 인물은 스웨덴 왕실 여인들의 이름과 카톨릭 성녀의 이름으로, 스웨덴 사회를 대변하는 역할을 한다.스웨덴 역사도 모르고,동양인인 우리에게 이 책은 중반부부터는 지루하다.P615 옮긴이의 말부터 읽고 소설을 읽는 것이 소설을 이해하는데 훨씬 도움이 될 것같다.
스웨덴의 권위 있는 문학상 아우구스트상을 수상하며,40만부 이상 팔려 나갔고,전세계 23개국에 번역 출간된 책이다.하지만 동양인의 정서에는 맞지 않아서 지루한 부분이 많다.추리소설이나 공포영화 같아서 사월의 마녀 데시레가 뭔가 극적인 사건을 만들고 그것을 풀어가는 과정을 기대했지만,소설은 현재에서 과거 어린시절의 성장배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형식이다.그 어떤 클라이막스의 부재다.드러나는 네 자매의 인생이 너무 잔인하다.스웨덴의 복지 정책의 이면을 예리한 시선으로 포착한 작품으로서의 의의를 두면 된다.
물리학적 표현들
*충분한 압력이 가해지면 진공상태에서도 물질이 생성될 수 있다.이것은 이미 입증된 사실이다.
*세월이 흐르면서 크리스티나는 점점 더 투명해졌다.그래서 그녀는 모든 순간을 해체시킬 수 있을 것처럼.그리고 단 한 번의 파동과 미립자의 운동으로 그 순간들을 그 순간들을 쫒아버릴 수 있을 것처럼 보였다.
*한 번 주어진 질량과 에너지는 형태가 새롭게 바뀌어도 영원히 존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