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2 - 산은 강을 넘지 못하고, 개정판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2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남의 알프스라 불리는 깊은 골짜기
굽이굽이 돌아 운문사에 도착했다.

책에서 유홍준 교수는 운문사의 아름다움은 겨울에 있다고 했지만, 나는 늦은 가을에 찾았다. 그리고 긴 계곡을 끼고 돌아가는 길을 지나 만나는 운문사를 보면서 느꼈다.

‘여름에 다시 오고 싶다‘
초록의 생명력이 최절정을 이룰때 다시 찾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운문사로 들어가는 진입로에서 만난 푸른 솔밭길,
솔밭길을 10분 정도 걷고 나면 정겨운 낮은 돌담을 만난다.  그 돌담길을 따라 서 있는 붉은 단풍나무는 운문사를 찾은 많은 이의 포토존이 되고 있었다.

계절 끝자락에 만난 운문사의 가을빛은 땅 위에서 메말라 바스락 소리를 내고 있었다. 지나가는 발걸음에서 비틀어져 부서지며 소리내는 낙엽들이 처량했다. 이 가을도 이제 막바지 인사를 하는 것 같았다. 급작스럽게도 가을의 쓸쓸함이 겹쳤다.  마침, 걸치고 간 외투 또한 갈색 프랜치코트다. 

‘쓸쓸함의 이 가을을 제대로 만끽할 수 있는 건가‘
실없이 웃음이 났다.

청도의 운문사, 사리암

유홍준 교수의 ‘운문사의 아름다움 다섯 ‘

첫째는 비구니 승가대학이 있어 항시 승가대학 비구니 학인 스님들이 있다는 것.(하지만 코로나로 인해 승가 대학 쪽은 개방을 하지 않았다. 담 넘어 보이는 넓은 공간과 나무들 보고 싶어 많이 아쉬웠다)

둘째는 장엄한 새벽 예불이다. (나에겐 불가능, 어찌 저녁 예불이라도 가능할까)

셋째는 운문사 입구의 솔밭이다. 이 아름다움은 눈으로 목격을 하였기에 그 진가를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역사적 아픔의 흔적도 눈으로 목격했다.(일제 시대 송진 공출 때 상처입은 흔적들)

넷째는 운문사의 자리매김이다. 높은 산자락에 위치한 운문사는 넓은 평지 사찰이다. 그리고 분위기 또한 아기자기 하고 평온하다. 그래서 유난히 연인들과 가족들이 많았다. 오늘 나는 아이들을 버리고 가볍게 찾았다. 영원한 나의 누구씨랑 ,함께.

마지막 다섯째는 너무나 유명한 역사책 <<삼국유사>>
가 여기서 쓰였다는 사실이다. <<삼국유사>>가 발간된 곳은 인각사(麟角寺)였지만 ‘일연스님‘이 운주사 주지 스님으로 있던 시절에 쓰였다고 한다.

책의 다섯 가지 아름다움을 다 경험하지는 못했지만 개인적으로 다른 색의 아름다움은 체험하고 내려 온 것 같다. 무엇보다 사리암을 올랐다는 기쁨이다.

운문사를 돌고 반대편으로 나오는 길에 사리암 가는 길이 보였다. 여기서 사리암 주차장까지의 거리가 걸어서 30분 정도였다.  사리암 주차장까지 걸어가느냐 차를 끌고 가느냐의 고민에서 단호히 나의 두 발을 선택했다. 결국 30분을 걷고 사리암 주차장에서 시작해서 또 사리암까지 올르는 계단 1008개의 계단을 밟기 시작했다. 결코 만만치 않은 경사와 계단 수에 숨이 턱밑까지 헉헉 거렸지만 올랐다. 그리고 사리암에서 커피 한잔의 여유는 세상 어디에도 없는 커피 맛을 선사했다.

오른자의 여유와 함께 느긋한 발걸음은 하산하는 가벼움을 느낄 수 있었다. 높은 곳을 향해 올랐던 시선은 이제 낮은 곳을 향했다. 등산의 기분 중 최고의 기분인 성취감을 제대로 느꼈던 시간이었다. 산 정상을 오른 경험이 별로 없는 개인이라 그 짜릿함은 더 컸다.

개인적으로 여행을 할 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길의 매력이다. 가는 길에서 만나는 즐거움과 소소한 행복을 더 좋아한다. 목적지에서 주는 기쁨보다 나에게 더 감흥을 주는 것이 가는 길에 만나는 작은 것들이다. 하지만 사리암을 오를 때 그 작은 소소함을 놓쳤다. 눈앞에 보이는 사리암을 오르기 위해 헉헉 거리면서, 목적지만을 향하는 발걸음은 주변을 돌아볼 여유가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내려오면서 마지막에 찾은 여유는 나름 좋았다.
땅 위에 뒹구는 낙엽도 주워가며 내려오는 시간과 사진도 찍을 여유도 있었다.

집으로 돌아와 다시 책장에 꽃힌 책을 찾았다.
유홍준의 《나의문화유산답시기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