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 - 더 나은 오늘은 어떻게 가능한가 인류 3부작 시리즈
유발 하라리 지음, 전병근 옮김 / 김영사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ㅡ유발하라리

'더 나은 오늘은 어떻게 가능한가'
부제로 시작하는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의 대답은 우리가 알고 있는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고 이해하는 것에서부터라고 말하고 있다.
저자는 지금의 자유 민주주의에 대해서 비판적 사고가 없이는 그것이 지닌 결점을 고칠수 없다고 말한다.

책은 먼저 현재 우리가 처한 정치적, 기술적 위기를 말한다.
이미 직면한 미래에서 ''우리가 보호해야 할 궁극적 목표는 사람이지 일자리가 아니다.''
AI시대, 윤리적 차원에서 보면 잠재의식이 없는 컴퓨터에 인간의 권위는 그리 쉽게 넘어가지 않을것이다.
세계는 하나의 문명이다.
비슷한 단일 문명을 이루고 사는 인류의 공동 관심 핵전쟁, 생태 붕괴, 기술적 파괴의 문제점은 지구촌 차원에서만 해결 될 수 있다고 말한다.

다음, 전쟁과 테러리즘에서 절망과 희망을 말한다.
''인간의 어리석음을 절대 과소평가하지 말라.''
최소한 내가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타인에게 관심을 가지고 그들의 고통을 깊이 헤아리는 능력이 필요하다.
4부 진실
''당신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무지하다.''
개인은 이성적 분석보다 감정적 반응과 손쉬운 방법에 기초한 집단적 사고로 스스로 생각하는 경우보다 협력과 관계의 과정에서 기인한다고 말한다.
스티븐 슬로먼과 필립 페른백의 '지식의 착각' 에서
'권력의 블랙홀'과 '행복한 무지',
집단사고는 블랙홀처럼 주변 공간 자체를 왜곡하고 알려고 노력하지 않는 사람, 저자는 무지와 무관심은 어떠한 증오나 탐욕보다 더 무섭다고 말한다.
우리 주변의 선전물과 거짓 정보에서 희생자가 되지 않으려면 세상의 수많은 편견에 자유롭지 못한 언론과 신문에서 분별력 있는 판단을 위해 시간과노력은 필수인 것이다. 가짜 뉴스 밑바닥에 존재하는 진정한 사실과 고통을 이해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타당성있는 논리를 찾는 노력은 힘의 논리에 치우친 어리석은 집단사고에서 벗어나는 길이다.
''가짜 뉴스 앞에서 우리의 침묵은 중립이 아니다.
그것은 현상 유지를 편드는 것이다. ''
제대로 인지하고 세상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은 가짜 뉴스 속에서 살아 남는 혜안을 가지는 방법일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가 하고 싶은 말
''세상의 모든 것은 변한다. ''
불변의 진리처럼 지속적인 본질은 없으며 우리를 완전히 만족시킬 것은 결코 없다. 고통은 이 사실을 모를때 생겨난다. 그 영원한 본질을 때로는 신 또는 국가라 부르고 영혼,진정한 자아, 진정한 사랑이라 부른다. 그것에 집착하면 할수록 예정된 실패에 따른 실망과 좌절도 커진다. 집착이 크면 클수록 그 사람이 염원하는 목표와 자신 사이를 가로막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모든 개인과 집단제도를 향한 증오심도 커진다. 그렇기에 가장 현실적인 것이 '고통'이라 말한다.
실체.
우리가 살면서 삶의 의미를 찾고 싶을때 가장 좋은 출발점은 고통을 관찰하고 그것이 무엇인지 탐구하는 자기 관찰이다.
''인간은 개인이 제대로 할 수 있는게 그닥 없다.''
21세기를 살아가는 현재, 역사적으로 볼때 자유민주주의라는 가장 훌륭한 제도에서 나오는 부작용들은 개인이 한 나라가 애써서 되는 것이 아니다. 조금 더 멀리 지구촌에서 일어나는 주된 공동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같이 실천해야 된다고 말하고 있다.
무엇보다 '' 응용 기술이 빨리 변할수록 교육은 핵심과 본질에 충실해야 한다.'' 그래서 우리가 교육해야 할 것은 이 변화에 어떻게 적응하느냐와 어떻게 내가 모른다는 걸 깨닫는 것이냐 이다.
결국, 자신을 제대로 들여다보는 자기 성찰에서 정체성을 찾아가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 그 시작점은 고통의 실체에 관찰하면서 탐구하는 것이며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당부하는 저자의 가장 중요한 메세지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