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실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 <사양>



염세적이고 퇴폐적이고 그저 방탕하게만 보이는 그의 책은 당황스럽고 혼란스럽기까지하다.

먼저 그의 자전적 소설인 <인간실격>은
자신의 삶을 소설 속에 고스란이 담았다.
그리고 <사양>은 패망 후 몰락해가는 한 가족사를 이야기 한다.

<인간실격>의 화자인 '나'요조,
암훌한 세상에 불안만이 가득했던 패전 후 상황에서 늘 죄의식을 옆에 끼고 원숭이 처럼 광대처럼 영혼없이 산다. 결국 인간으로서의 존재감마저 상실하는 파멸의 길로 들어선 그는 한 정신병원에서 무서운 생의 진실을 깨닫게 된다.

''그저 모든 것은 지나갑니다''

다자이 오사무는 쓰시마가문의 꽤 영향력 있는 유지 집안에서 11남매 중 10 번째로 태어났다. 유년 시절부터 누려왔던 자신의 부유함과 바쁜 부모를 대신해 하인과 숙모의 손에서 자란 그는 '부모의 사랑의 결핍'일까 자라면서 늘 정서적 불안이 내재되어 있는 삶을 산다. 그러한 개인사를 조금 이해하고 책을 본다면
소설 속에서 광대짓만 하는 실체 없는 껍데기 인형에 불과한 삶을 사는 그와 항상 마음 한 구석에는 '켕기는 데가 많은 사람'으로 스스로를 가둔 그를 바라보는데 조금은 불편한 시각을 내려 놓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의 방탕함에는 세상으로 나오지 못하는 자아의 실체가 방황하고 있다.

한나 아렌트의 말처럼 인간이 교제하는 영역의 경계선 밖에 위치한 사람일지도 모른다.

'' 모든 사람을 위하는 사람이나 모든 사람에게 대항하는 사람, 두 사람 모두 고독하다.''

<인간실격>에서 보여준 그는 죄의식과 인간에 대한 공포심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대로 살 수 없었다.
세상 속에서 아닌, 주변부에서 인간으로 살아가는 것에 아직 익숙하지 않은 모습이다.
자격 상실, 인간으로서의 존재감 상실.
방탕함, 인간을 향한 공포심을 잠시나마 잊게 해 주는 좋은 수단은 그에게 술과 담배, 매춘을 일삼는 것이다. 심지어 이것을 위해서라면 자신의 모든 것을 송두리째 팔아 버려도 후회없을 거라는 생각까지 가지게 된다. 결국, 방탕하고 퇴폐적 현실도피의 길을 가게된다.
시대적 상황이 만들어 놓은 실존적 위기, 인간에 대한 신뢰가 있을 수 없는 현실에서 정신병원에 간 요조는 완전히 인간으로서의 자격 상실을 경험한다.

''누구에게는 평범한 일상이 가장 고통스러운 것이며, 누구에게는 행복한 모습을 보는 것이 지독한 고통일 수 있는 것이다.''

<인간실격>의 요조의 퇴폐적이고 방탕함은 진짜 방탕함이 아닐 것이다.
그의 삶과 소설 속에서 비춰진 방탕함이란 고뇌가 있다. 진짜 '방탕자'가 아닌 세상에 대한 고민이 담긴 다자이 오사무의 몸부림.
그의 또 다른 책 <사양>에 나오는 인물, 가즈코의 동생 '나오지'의 유서를 보면 알 수 있다. 끝까지 귀족이고 싶었던 나오지의 자존심이 '다자이 오사무'의 죄의식 가득한 혼란스러움이 아니었을까.
패망 후 하루 아침에 경제적 위기를 맞고 정신적 공황 상태에 빠진 젊은이들이 느껴야 했던 괴로움이 나오지의 괴로움이었을 것이다. 그가 비관적인 현실에서 주체적으로 선택하고 할 수 있는 마지막 저항은 '자살'이다.

<사양>에 나오는 인물에서 가장 혁명적이고 주체적인 인물은 '가즈코'이다.

''돈이 없다는 건 얼마나 두렵고 비참하고 희망없는 지옥인가, 하고 난생처음 깨달은 양 가슴이 미어지고 너무나 괴로워 울고 싶어도 울 수 없었다. 인생의 엄숙함이란 이런 느낌을 말하는 걸까.''

한 번의 결혼을 실패했고 전쟁 때 징용도 다녀온 그녀는 처한 현실을 그대로 직시하고 세상과 싸워 나간다.
영원히 귀부인으로 생을 마감한 어머니는 아름답고 슬프게 생애를 마감할 수 있는 마지막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딸 '가즈코'는 무슨 일이 있어도 쟁취하고 개척하는 강인한 태도로 삶을 바꿔간다.
사랑에 있어서도 낡은 도덕의 벽을 뛰어넘는다.

''혁명은, 대제 어디서 일어나고 있을까요?
적어도 우리들 주변에서 낡은 도덕은 여전히 그대로 털끝만큼도 바뀌지 않은 채, 우리의 앞길을 가로막고 있습니다. 바다 표면의 파도가 아무리 요동친들 그 밑바닥의 바닷물은 혁명은 커녕 꿈쩍도 않고 자는 척 드러누워 있을 뿐인걸요.''

책 마지막 그녀는 사랑하는 '우에하라'에게 편지를 보낸다.
사랑하는 사람의 아이를 낳고 키우는 일이 도덕적 혁명의 완성이며, 꿋꿋하게 자신의 혁명의 완성을 위해 낡은 도덕과 끝까지 싸워 태양처럼 살아갈 작정이라고 강한 의지를 보인다.
그녀의 편지에는 집착보다는 '주체성'이 강하다.
더 이상 사랑을 갈구하지 않고 '도덕적 혁명'을 위해 '사랑의 모험'을 성취하는 것만이 문제였다고 그 목적이 완성된 지금은 숲 속의 늪처럼 고요하다. 우에하라의 형편없는 인격이 오히려 그녀에게 무지개 같은 혁명의 정신을 심어 주었다며 감사인사를 한다.

<사양>은
각각의 인물들이 그 당시 비관적이고 암울했던 시대에서 자신의 삶을 어떻게 꾸려 나가는지 보여준다.
부유했더 귀족적 삶에서 패전 후 몰락하는 한 가족사.
여기서 마지막 귀족의 삶을 살았던 어머니는 나오지와 가즈코의 삶의 매개였다. 그런 어머니의 죽음 앞에서 동생 나오지와 가즈코의 삶은 갈림길에 놓이게 되고 정반대의 삶의 태도를 보이게 된다.
''극과극은 통한다고 했다''
나오지'의 자기 파괴적인 삶과 '가즈코'의 주체적인 삶은 대조적이지만 통한다.

'어머니의 애정' 때문에 남매는 주어진 삶에 독립적이고 주체적일 수 없었다. 어머니의 죽음은 이제 그동안 연결의 끈을 끊는 계기가 되며 동생 나오지는
자유롭게 살 권리와 마찬가지로 언제든지 마음대로 죽을 수 있는 권리, 자살을 택한다. 반대로 가즈코는 도덕적 혁명인 모험을 감행하며 성취한다. 결국 남매는 각자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삶을 쟁취해 나간 것은 아닐까. 그렇지만 나오지는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없었고 가즈코는 세상 밖으로 당당히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나온 것이다. 그리고 여성인 한 개인으로서의 삶에서 사회적 관념에 억압되지 않고 이룬 혁명적 성취는 그 시대 가장 진보적인 패미니즘이며 그녀는 이미 패미니스트의 길을 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