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정크노트
명지현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 시절에 읽었던 어느 성장소설. 나름 괜찮았지만 소설보단 지극히 작가 개인사를 열거해서 후로 성장소설엔 별 흥미를 느끼지 못한 채 어언..십년이 훌쩍 넘어버렸다.

정크노트.
나도 나만의 레드북이 있다. 벌써 오랫동안 손을대고 있진 않지만 그 안엔 수 년전의 영화관람이야기, 일기 등등이 적혀있다. 2002년. 뜨거운 월드컵이 개최 된 후 배낭여행을 떠나 피렌체의 벼룩시장에서 산 레드북. 하지만 주인공의 정크노트는 위험하다. 어느 시골마을 비닐하우스에서 전직 의사 정키(약물중독자)에게 일당을 받고 양귀비를 재배 과정을 기록한 노트이기 때문이다. 엄마는 아빠의 술버릇에 못이겨 집을 나가고 아빠는 술독에 취해 사고로 입원 중. 할머니의 슬하에서 자라고 있는 호준은, 결국 인터넷도 되지 않는 중고 컴퓨터 구입 대금을 갚기위해 정키밑에서 일을 하게된다. 전직 의사였던 정키아저씨는 슬픈 기억을 안고사는 사람이다. 딸을 잃고, 자신의 환자를 잃고, 자신까지 잃어버리는, 음악에 미친 아저씨. 그 아저씨에 약간의 동정이 있는 듯 하면서도 호준은 어디서부터 시작된 열의인지는 모르지만 '양귀비'의 생산물, 아편에 목표가 있다.

잘 짜여진 한 권의 성장소설을 읽노라니 나의 재미없었던 학창시절이 떠올랐다. 이왕 이렇게 아이낳고 살림하면서 살거면 더 화끈하게, 어떤 일이라도 저질(??)를 것을...^^ 시원한 문장으로 읽는 재미 한 층 깊은 소설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붙였다 뗐다 헝겊 스티커북 : 수놀이 붙였다 뗐다 헝겊 스티커북 2
대한교과서 유아교육 연구소 지음 / 아이즐북스 / 2009년 7월
절판


제 큰 딸은 24개월. 막 수를 시작해서 1~10까지 배웠답니다. 그리고 동그라미, 세모, 네모.
여느 아이들처럼 스티커도 엄청 좋아라하구요.
그래서 도착한 큼지막한 이 책~!

아이가 숫자를 찾아 직접 붙입니다. 펠트로 된 숫자 스티커가 아이의 촉감도 자극할 수 있어요.

첫 페이지입니다. 1부터 10까지 그림에 맞춰서, 혹은 숫자 모양에 맞춰서 스티커를 떼어 붙일 수 있게 되었어요.
책장은 넘길 수 있게 되어있구요, 찢어지지 않는 헝겊 스티커는 딱딱한 보드에 붙여져 있습니다.
제 아이, 이런 스티커는 처음 만져보네요^^

아직, 하나, 둘, 셋~ 과는 연관을 못시키지만 1부터 10까지 무난하게 잘 붙입니다.
제가 노래를 불러줘요.
일은 어디있나? 요기~~~ 이는 어디있나? 죠기~~~~ 이렇게 흥을 돋궈주면 아주 좋아합니다.

손으로 꾹~~ 눌러주면서 완성을 시킵니다.

세모, 네모, 동그라미를 붙일 수 있는 페이지도 있어요.
탱크램 스티커라고 하는데, 이것도 그림에 맞춰서 잘 붙일 수 있습니다.

이 책이 여기서 멈춘다면 한 달 정도 놀다가 끝낼꺼에요. 하지만

** 10부터 100까지 학습할 수 있는 페이지도 있습니다.
아직 울 아이. 십단위는 모르거던요~~ ^^
** 덧셈, 뺄셈을 할 수 있는 페이지도 있습니다. (덧셈기호를 떼어서 설겆이 하고 있는 저에게 '꽃~' '꽃~' 이러네요..^^)
** 색깔 찾기도 있습니다. 여러 개의 동그라미 스티커가 있는데 색깔이 달라요. 같은 색깔을 찾아서 붙이는 연습도 가능합 니다.

책 속의 다양한 컬러 그림들이 나오면 자기가 아는 거 나온다고 큰 소리로 자동차! 시계! 인형~ 인형~ 그리고 여러 동물들이 함께하니 정말 좋은 친구가 되었죠^^

놀이방매트에서 하면 기어다니는 동생이 만진다고 꼭 소파에서 가지고 놉니다. ㅡ.ㅜ

마지막 장에는 빈 페이지가 있어요. 다양한 펠트스티커로 자유롭게 꾸밀 수 있는 공간인데, 저는 아이에게 사인펜을 주고 맘껏 그리도록 했습니다. 종이가 사인펜을 지울 수 있는 재질로 되어 있거든요. 그동안은 색연필, 크레파스, 볼펜을 주로 이용해서 그림을 그렸는데 처음으로 사인펜으로 그림을 그리니 또 다른 느낌인지 너무 좋아라합니다.
발명 특허를 받은 정리판이 있어서 아이가 다 놀고 나면 자는 시간에 제가 거기에 정리를 해둡니다.
아직 아이가 정리판에 정리하는 수준은 안되네요^^
책 한 권으로 또 유익한 시간을 보낼 수 있어서 기분이 너무 좋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우스터리츠 을유세계문학전집 19
W. G. 제발트 지음, 안미현 옮김 / 을유문화사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우슈비츠. 아우슈비츠..
이 책의 제목 '아우스터리츠'에서 연상되는 유일한 강력한 단어, 아우슈비츠. 그 시대의 소설을 두어 권 읽었지만 또 다른 형식으로 쓰여진 이 책을 만난 건 행운이랄까..

히틀러가 유럽을 장악했을 때 유대인 어린아이를 영국으로 피신시키는 구조 운동때, 네 살에 영국으로 건너갔던 아우스터리츠가 기억을 회상하는 방식으로, 덤덤하고 차분한 목소리로 당시의 상황을 조금씩 재현한다. 이것은 내가 전에 읽었던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나 임레 케르테스의 [운명]과는 또 다른 그 시대에 대한 접근 방식이고, 유대인 어린아이 구조 운동은 몰랐던 사실이다. 영국은 1938년부터 1939년까지 약 1만명의 유대 어린이를 받아주었다고 한다. 훗날 건축사가 된 노년의 아우스터리츠는 애써 외면하기까지 해왔던 20세기 역사와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나선다.

'나는 혼자라고 항상 믿어온 것. 그리고 그것이 지금은 그녀에 대한 나의 갈망에도 불구하고 이전보다 더 크다는 것을 말이지요..' ----- page 238

자신은 고립되었다고 생각하며 일종의 사회부적응자로 스스로를 가두고, 끝내 결혼하지도 않은 아우스터리츠는 영국 웨일즈 지방의 칼뱅파 목사의 집에 입양되었다. 데이비드 일라이어스라는 새로운 이름과 함께 그의 기억엔 자신의 유대인 과거와 전쟁은 없었다. 열네살에 '아우스터리츠'라는 본인의 이름을 알게 되고 그를 도와주는 사람과 함께 점차 과거로의 얽힌 실타래같은 기억을 더듬어 찾아 나선다.

'내가 무엇인가 쓰려 하면 아우슈비츠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라고 했던 임레 케르테스와는 달리 본인은 그런 아픈 기억은 없지만 조국인 독일에 대해서, 지난 독일이 자행했던 것들을 이 책으로서 독자들에게 끊임없이 일깨워 줄 것이다.

이 시대의 관련된 작품들은 한결같이 나의 마음은 항상 씁쓸함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