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이방인 알베르 카뮈 전집 2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책세상 / 198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나만 카뮈를 모르고, 나만 그의 [이방인]을 모른채 살아온 지금까지의 시간들은 무엇인가?를 느끼며, 흡사 이런 내가 또 다른 '이방인'이였나? 하는 느낌으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이방인]과 이것을 지지하는 해설이 똑같이 반을 차지한다.

어머니의 죽음조차 그닥 큰 슬픔으로 느끼지못하고, 여자 친구 마리에 대한 '사랑'도 사랑이라 골몰히 여기는 것에도 별 가치를 느끼지 못하는 평범한 청년 뫼르소가 주인공이다. 어떻게 보면 지극히 평범한 인상보다 약간 차가우면서 권태로운 일상을 살아가는 뫼르소는 이웃에 사는 (못된) 친구 레몽과 친해지면서 그의 '불행'의 전주곡은 시작된다. 레몽의 소개로 마리와 별장에 놀러갔다가 그의 일상만큼이나 따분하고 축쳐지게 만드는 뜨거운 태양빛은 우발적으로 살인을 하게 된다. 이것은 그의 어머니의 죽음만큼이나 그에게 와닿지 않은 사건으로 그를 계획적인 살인자로 몰고가는 세상으로부터 이방인이 되게 한다. 아마, 깨어보니 사람을 죽였고, 그래서 눈떠보니 형무소에 있었다. 라는 느낌이였을 것이다. 끝내 적극적인 변호 한 번 주장 못하며 사형을 언도받는다.

인간은 어느 경우에서든지 당사자가 아닌 일에 함부로 판단하고 말할 권리가 없음에도 우리는 무언가에 대해, 누군가에 대해 섣불리 이야기하곤한다. 그것이 가쉽이든, 치명타이든 늘 조심해야하는데도 말이다. 한 사람을 매장시키기에 너무나도 큰 힘을 가진 '편견'에 뫼르소는 이 시대의 마녀사냥처럼 사냥되어버렸다. 아랍인을 죽인 직접적인 이유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정당방위라고도 할 수 있는데, 아랍인이 가진 단도가 태양빛에 서슬처럼 빛나고 뫼르소의 주머니엔 우연히도 총이 있었다는 것. 또 하나는 그를 내리쬐는 태양빛으로 판단 오차. 그가 끝내 사형을 받기까지 적극적으로 변호하지 못한 성격 탓도 있지만 사회는 '그도 죽여야한다'라는 일념으로 모든 것을 몰아가는데 여념이 없다. 무서울정도로 그를 묻어버리는 주변 사람들의 증언, 신문기자, 판사 등이 소름끼친다.

참 흥미롭게 읽어내려간 책이다. 장 그르니에를 통해 카뮈의 책도 읽어봐야겠다고 생각만 해왔었다.
생각과 행동이 일치되는 사람이 되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돼지의 추억
사이 몽고메리 지음, 이종인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이 책으로 처음 만난 사이 몽고메리. 그녀는 야생동물 전문 동물학자이다. 자신은 인간보다 '동물'과 선천적으로 더 잘 맞는 것 같다고 생각하는데.. 그 생각은 맞을 것이다. 신의 실수에 의해 성이 바뀌었다고 생각하는 몇몇의 트렌스젠더처럼 그녀의 확고한 생각이 맞을 것이란 말이다.

나도 내 인생에 있어 '특별한' 동물은 있다. 그 동물은 고양이. 이름은 '라일라라'였다. 내가 초등학교 시절 수 년간 기르던 야옹이인데, 나도 이 야옹이에 대해서라면 할 말이 엄청 많다. 하지만 사이 몽고메리 만큼은 아닌가 보다. (적어도 책으로 내지 않았으니...^^)

주인공 크리스는 돼지 새끼들 중 '무녀리'였다. 무녀리란, 돼지의 많은 젖꼭지 중 제 역할을 다하는 젖꼭지는 8개란다. 그래서 새끼가 그 이상 태어나면 자연 도태되거나 다른 새끼들을 위하여 어미에 의해 죽임 당하기까지 하는 새끼를 말한다. 크리스는 고양이만 했다. 갸녈픈 무녀리였던 크리스가 과체중 340kg까지 포동포동 살찌우게 되고, 돼지의 평균 수명 '4개월' (식용 도축되지 때문에) 을 훨씬 웃돌아 약 14년간 살다 자연사하게 될 때까지, 사이 몽고메리와 그녀의 남편, 하워드. 그리고 수 많은 이웃과 어떻게 살았는지 크리스의 일대기이다.

하지만 인간은 위대하다 했던가??? 크리스의 일대기만 나열하면 '인간'에겐 의미 없음. 사이 몽고메리라는 동물학자의 품에 안겨 '영'과 '혼'이 일치되는 드문 존재. 돼지 크리스로 수 많은 사람에게 행복과, 원초적 기쁨, 위안, 감동, 상처 치유, 삶의 지속 이유 등등을 선사했다.

그녀의 글에서 나도 상상할 수 있었다. 크리스가 아주 큰 입으로 (입은 큰 코에 가려 잘 안보이겠지만) 살짝 딸기만 골라내는 것. 배를 살살 긁어줄 때의 원초적 나른함. 행복에 겨워하는 모습. 우적우적 음식 한 양동이를 헤치우는 기특한 모습. 어느 날, 토마토를 한 양동이째 먹고 배탈이 나서 힘들어하고 있을 때 약을 먹지 않는 크리스가 안타까워 울음을 터뜨린 그녀를 나도 아주아주 잘.. 상상할 수 있었다.

나의 고양이 '라일라라'가 죽은 후. 그렇게 매일 밤 꿈에서라고 만나게 해달라고 기도했었던 적이 있었다. 이 십년도 지난 시간동안 라일라라는 한 번도 내 꿈에 나타나지 않았다. 그 후로 난 동물에게 각별한 애정은 주지 않는다. 죽음은 받아들이기 너무 힘들기 때문에...

'나의 착한 돼~~지. 차~~악~~한 돼지.. The good good pig' 를 멜로디를 붙여 따라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우스터리츠 을유세계문학전집 19
W. G. 제발트 지음, 안미현 옮김 / 을유문화사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우슈비츠. 아우슈비츠..
이 책의 제목 '아우스터리츠'에서 연상되는 유일한 강력한 단어, 아우슈비츠. 그 시대의 소설을 두어 권 읽었지만 또 다른 형식으로 쓰여진 이 책을 만난 건 행운이랄까..

히틀러가 유럽을 장악했을 때 유대인 어린아이를 영국으로 피신시키는 구조 운동때, 네 살에 영국으로 건너갔던 아우스터리츠가 기억을 회상하는 방식으로, 덤덤하고 차분한 목소리로 당시의 상황을 조금씩 재현한다. 이것은 내가 전에 읽었던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나 임레 케르테스의 [운명]과는 또 다른 그 시대에 대한 접근 방식이고, 유대인 어린아이 구조 운동은 몰랐던 사실이다. 영국은 1938년부터 1939년까지 약 1만명의 유대 어린이를 받아주었다고 한다. 훗날 건축사가 된 노년의 아우스터리츠는 애써 외면하기까지 해왔던 20세기 역사와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나선다.

'나는 혼자라고 항상 믿어온 것. 그리고 그것이 지금은 그녀에 대한 나의 갈망에도 불구하고 이전보다 더 크다는 것을 말이지요..' ----- page 238

자신은 고립되었다고 생각하며 일종의 사회부적응자로 스스로를 가두고, 끝내 결혼하지도 않은 아우스터리츠는 영국 웨일즈 지방의 칼뱅파 목사의 집에 입양되었다. 데이비드 일라이어스라는 새로운 이름과 함께 그의 기억엔 자신의 유대인 과거와 전쟁은 없었다. 열네살에 '아우스터리츠'라는 본인의 이름을 알게 되고 그를 도와주는 사람과 함께 점차 과거로의 얽힌 실타래같은 기억을 더듬어 찾아 나선다.

'내가 무엇인가 쓰려 하면 아우슈비츠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라고 했던 임레 케르테스와는 달리 본인은 그런 아픈 기억은 없지만 조국인 독일에 대해서, 지난 독일이 자행했던 것들을 이 책으로서 독자들에게 끊임없이 일깨워 줄 것이다.

이 시대의 관련된 작품들은 한결같이 나의 마음은 항상 씁쓸함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