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태어난 게 잘못이야 - 일중독 미국 변호사의 유럽 복지사회 체험기
토머스 게이건 지음, 한상연 옮김 / 부키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은 가본 적이 없고 독일은 배낭여행으로 한 번 가봤다. 베를린, 뮌헨, 프랑크푸르트, 하이델베르그를 2002년에 갔었고 그 외 서유럽의 여러 나라, 신혼여행으로 한번 더 누볐던터라 이 책을 만나자마자 선입견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나 역시 유럽의 여러 도시들의 여유로움과 안전함, 젠틀함에 반했었기에 '한국에서 태어난게 잘못이야'라는 생각도 했었고 살고 싶은 나라는 스위스라고 떠들고 다녔었다.

 

이 책은 대기업 과장인 애들 아빠와 다름없는 삶을 살고 있는 한 일중독 미국 변호사가 독일의 복지 등을 에세이식으로 파헤쳐놓은 정치경제학책이다. 분당으로 근무지가 바뀌면서 한 술 더 뜬 신랑의 이른 출근시간과 퇴근시간. 평일 5일은 아빠 얼굴 구경조차 힘든 다섯 살, 세 살의 두 딸의 인생은 잔소리꾼과 짜증쟁이 엄마와 풀코스이다. 우리사회가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종점은 미국처럼~이라는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기때문에 난 이 책이 미국:유럽(독일)이 아니라 한국:독일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유럽의 많은 나라들은 우리보다 훨씬 질높은 복지를 누리고 있고 (세금도 엄청내지만...신랑이 거기 가 있다면 급여의 반은 뚝 떼일 것 같다.), 특히 보육에 관한 복지는 늘 부러워했었다. 그리고 분명하게 차이나는 년중 휴가일수. 그렇게 쉬면서도 경제가 잘 (우리보다 잘~~~, 우리보다 선진국이 많으므로) 돌아가는게 의문이였다. 작가처럼..온갖 명품의 원산지이기도 하지 않는가??

 

책을 읽으면서 유럽 사회의 많은 것들이 정치적으로 본다면 사회민주주의라는 사실에 깜짝 놀라기도 했다.(내가 사회시간에 줄창 졸기만 했었나...??) 독일마셜기금의 보조금을 받아 두 달 동안 독일에 머물렀다는 작가에게 '그러면 그렇지..나도 그 기금 받아 독일갔으면 독일왕팬이 되었을 것이라는 생각에 이 책 자체가 약간 객관성을 잃지는 않았나...좀 거르면서 읽을 필요가 있겠군...싶었다. 하지만 사회 & 정치에 조금이라도 관심있는 독자라면 너무 재미있게 읽힐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