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학
아리스토텔레스 외 지음, 천병희 옮김 / 문예출판사 / 200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시학'이라기 보단 시를 포함한 문학(예술)에 관한 철학가들의 깊은 사색과 견해, 그리고 약간의 이론서인 듯 하다. 아리스토텔레스를 시작으로 호라티우스, 플라톤, 그리고 롱기누스의 [숭고에 관하여]가 실려있다. 고대 저술인만큼 완성본이 아닌 것도 있으나 해설이 덧붙여 있기에 읽는데 큰 무리는 없다. 하지만 전공자가 아닌 나는 다른 이유로 이것을 읽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이해는...누군가의 도움을 얻어야 할 상태이다....ㅠ.ㅠ

책을 받고 목차와 번역가의 네 편에 관한 설명부터 읽었는데 플라톤과 롱기누스의 저술이 관심이 갔다. 플라톤의 저서는 이미 읽어 본 적이 있고, 대화체로 되어있어 읽기에 조금 더 수월하였다. (줄간격이 시원스러운 편집도 따분함을 좀 줄여주었다.)

원래 플라톤은 시와 예술에 관해 따로 책을 쓴 적이 없다고 한다. 하지만 다른 저술에서 찾아보면 플라톤의 시와 예술에 관한 태도는 부정적이다. 책에 실린 글은 플라톤의 [국가]의 제 10권 앞부분으로 20장이 채 안되는 부분이 실려있다. 이데아에 대한 개념과 비극에 대해서 살펴보고 모방론에서 본격적으로 예술을 열등한 것으로 몰아가는 듯 하다.

롱기누스의 [숭고에 관하여]는 과연 철학가가 정리한 '숭고'적인 의미는 어떤 것일까? 궁금증을 가지고 읽었다. 핵심인 8장에 정리가 되어 있는데 숭고의 다섯 가지 원천을 살펴보면,

숭고한 문체의 가장 생산적인 원천은..

1. 위대한 구상 능력
2. 강력하고도 열광적인 감정
3. 문체의 적절한 구성
4. 고상한 표현법 (어휘의 선택, 은유의 사용, 언어의 조탁)
5. 품위 있고 고상한 조사

즉, 이 책의 논제가 '시학'이므로 롱기누스의 숭고에 관하여도 이 범위에서 문학에서의 '숭고한 문체'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내가 생각한 것과 빗나갔지만 어쨌든 고대 철학가들의 다양한 시론을 알 수 있었고 약간 구식인 것같은 느낌도 조금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