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구적 이성 비판 - 이성의 상실
M.호르크하이머 지음, 박구용 옮김 / 문예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에서 느껴지는 염세적인 이성에 대한 성찰이 스스로를 너무 옭아매지는 않을까라는 염려로 책장을 넘겼다. 부재 '이성의 상실'에 대한 비판과 성찰로 현대 사회에서 물질이나 출세 등등의 목표나 대중매체, 각종 타자성의 요인에 휩쓸려 제대로 된 개인의 이성의 힘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을 문제삼았다.

호르크하이머는 '개인'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두는 것 같다. 완전히 성장한 개인은 완전히 성장한 사회의 완성이다. 개인의 해방은 사회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집단화와 대중문화의 시기에 정점에 이를 수 있는 원자화, 바로 그 원자화로부터 사회를 구제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page 172
하지만 오늘날의 개인은 조상보다 더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되었지만 우리들이 전망할 수 있는 시간은 현대 사회의 빠른 물결에 맞추어 더 짧은 시간밖에 예측할 수가 없게 되었다. 이러한 호르크하이먼의 현대 비판은 그의 철학 중심에 있다.

나 역시 현실을 고민하고, 불만이 있지만 적절하게 해소하고 찾은 결과는 늘 언제나 현실과의 타협일 뿐임을 고백하게 된다. 즉, 호르크하이머처럼 날카롭게 비판 이론을 붙들고 씨름해야 할 현실은 나에게 저 멀리 있으며, 이 부정적인 현실 (누구에게나 긍정적인 현실은 거의 없을 듯 하다. 시크릿의 비밀을 알고 있는 자 외에는...^^)의 분석은 전문가에게 맡겨두는 편이 내 생활에 더 유익함을 익히 알고 있다.

그의 태생 때문인 것일까? 유태계의 독일 철학자의 사고는 그리 긍정적이 되지 못함을...하지만 그는 현실의 허무주의자도 아니고 염세주의자는 더더욱 아니다. 그가 알고자 한 자아와 이성. 그리고 현실에 대한 의식이 일반인에게는 어렵게 다가오지만 그 누구도 이러한 사유에서는 평생 떠나지 못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