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의 얼굴
아베 코보 지음, 이정희 옮김 / 문예출판사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모래의 여자]로 깊은 인상을 받았던 아베 코보의 실종 삼부작 중 한 권이다. 고등학교 시절 니콜라스 케이지를 처음 접한 영화. 언니랑 야간자율학습을 빼먹고 몰래 극장으로 향했던 그 시절. 오우삼 감독은 이 [타인의 얼굴]이 아니였다면 그렇게 흥행에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한다.

주인공 '나'는 화학연구소의 직원으로 실험 중 액체질소의 폭발로 얼굴 전체에 화상을 입게되어 얼굴 피부를 잃게 된다. 그로부터 시작된 그의 내적인 방황은 심리적으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게 된다. 어느 정도 변함없이 그에게 친절한 아내. 붕대로 칭칭 감고 회사에 다녀야 하는 그. 그를 보는 주변의 시선 등. 모든 것이 엄청난 시련이였으리라.. 그는 출장 기간 중 가면을 만들기로 하고 그것은 성공한 듯 보이지만 결국 그는 아내로부터 버림받고 추락하게 되버린다.

책에서 많은 부분 차지하는 주인공의 심리 변화와 갈등. 아내와의 문제가 왠일인지 남의 일 같이 느껴지지 않았다. 지금도 그렇지만 책을 읽는 내내 나의 존재, 존재감. 타인이 나를 향한 존재감. 가족이 나를 느끼는 존재감. 타자성에 대해서 끊임없이 생각했다. 얼굴을 잃고나니 삶과 소통의 모든 것은 얼굴이였다. 얼굴이 없는 그는 타인과의 소통에서 단절되고 가장 가까운 아내로부터도 단절되었다고 생각하게된다. 나와 여러 사람과의 관계는 둘째치고 나와 가장 가까운 단 한사람과의 소통만이라도 아늑했으면 그는 극단으로 치닫지 않았을 것이라 합리화하지만 타자성을 인정받길 원한 것도 아내였다.

얼굴. 번역가의 말처럼 오늘 날 우리는 몇 개의 얼굴, 가면을 가지고 살아가는지 모르겠다. 진실된 얼굴은 언제,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