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 우리 놀이가 먼 훗날 역사가 된단다 - 한국 민속학의 개척자, 월산 임동권 ㅣ 샘터 솔방울 인물 14
남찬숙 지음, 최지은 그림 / 샘터사 / 2013년 11월
평점 :
샘터 솔방울 시리즈는 기존에 우리에게 잘 알려진 유명 위인의 이야기 보다는
우리의 근대사를 이끌어 나간 인물들을 새로운 관점으로 소개하고 있답니다.
따라서 처음 들어 본 이름을 만날 수도 있는 다소 생소한 위인전 시리즈이지만
그들의 삶을 통해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재조명하며 배워나갈 수 있는 책인것 같아요.
오늘 제가 만난 책이 그러하네요.
진작부터 샘터 솔방울 인물 시리즈의 매력에 조금씩 빠져들고 있었지만
오늘 월산 '임동권' 선생님의 이야기를 읽고 나니 새삼 좋은 시리즈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샘터 솔방울 인물 시리즈
'한국 민속학의 개척자, 월산 임동권'
<오늘 우리 놀이가 먼 훗날 역사가 된단다>
글 : 남찬숙 / 그림 : 최지은
월산 임동권 선생님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솔직히 저는 '임동권' 선생님에 대해서 아는 것 하나 없었던 터라
이번에 책을 읽으면서 그 분이 어떤 분인지 많은 것을 알 수가 있었어요.
간단히 말해서 우리나라 민속 분야에 평생을 바치신 분이신데
생각보다 우리 생활에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으신 분이시더라구요.
임동권 선생님은 1926년 5월 22일 충청남도 청양군의 작은 마을에서
전통있는 유교가정에 일곱 남매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답니다.
집안은 농사를 크게 짓고 양조장을 경영하고 있어서 매우 넉넉한 편이었어요.
어릴적부터 지리 박사라 불리웠고 소설가의 꿈을 꾸며 일본 유학도 하였지만
2차 세계 전쟁이 일어나면서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 빠진 세상을 살아야 했지요.
해방후, 국학대학에 들어가 언어학자 방종현 선생님을 만나면서
소설가의 꿈을 접고 민요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답니다.
그리고, 평생 동안 우리 것을 지키기 위해 애쓰시면서 살으셨답니다.
선생님은 우리나라에 최초로 대학에서 민속학 강좌를 개설하였고,
민속학과 연계하여 국악과와 사진학과도 만들었어요.
민속학을 공부하는 모임인 '민속학 연구회'를 발족하고 학회지 <한국 민속학 1호>를 발행하였구요.
중국과 일본과 함께 한 '아세아 국제 민속학 대회'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개최하였지요.
문화재 위원이 되어서는 '강강술래', '은산 별신제(별신굿)', '강릉 단오제' 등이 문화재로 지정되도록,
서울시 문화재 위원 일을 하면서는 나전칠기, 매듭, 궁중 음식, 승무, 고싸움 놀이, 문배주, 목조각장,
장안편사 놀이, 송파 다리 밟기 등을 문화재로 지정되고 보전될 수 있도록 하였답니다.
또한, 당시 '민속의 날'이었던 우리 명절 '설날'을 되찾고,
1만 2천 수에 이르는 우리 민요를 보존하기 위해 <한국 민요 전집> 7권을 출간하였답니다.
물론 이 모든 업적이 오롯이 한 개인이 이루었다기 보다는
우리 문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작은 힘들이 모여져서 뒷받침이 되었을테지만,
그 앞에는 늘 임동권 선생님이 우리 민속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기 위해
선구자 역할을 하며 소신있게 앞장서며 큰 힘을 주었던 것 같아요.
2년쯤전 딸아이랑 박물관 나들이를 갔다가 '강강술래'를 본 적이 있어요.
'강강술래'가 2009년 유네스코 세계 무형 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면서
상세한 소개와 함께 오랜 시간 동안 보여주더라구요.
그때 그 신명나게 노는 '강강술래'의 모습을 7살이던 제 딸아이가 푹 빠져서
정신없이 본 적이 있었는데 지금보니 그것도 임동권 선생님 덕이었네요.
소외되고 푸대접 받던 계층에서 이루어진 일들이라며 모두가 무시하고 반대했던 우리의 많은 문화들을
'그렇기 때문에~'라는 의미를 두며 소중히 여기고, 그것을 보존하기 위해 평생을 노력하신
임동권 선생님이 참으로 고맙고 감사하게 느껴졌어요.
최근... 드라마에서 시작하여 음악, 그리고 한글로 전 세계는 한류의 바람을 타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에 대한민국 국민으로 가슴 떨리게 기분 좋고 뿌듯한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진정한 한류는 우리의 것으로 승부를 봐야 된다는 생각이 드네요.
우리 역사가 제대로 해석되고, 우리 문화가 제대로 보존될 때
한류는 더 큰 의미로 성장하고 세계로 뻗어나가지 않을까 싶어요.
그런 의미에서 오늘 만난 '임동권' 선생님처럼 자라나는 많은 아이들이
우리의 것을 소중히 여기고 우리 민속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