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

하루키의 초기작들은 확실히 스무 살 무렵의 감성을 어필한다. 
젊은 시절의 어설픈 치기같은 것들이,
그 속에 녹아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 테면 처음 인생의 쓴맛을 알았다는 식의 비애감이라든가,
혹은 그래도 어쩔 수 없지 않느냐는 식의 가벼운 체념같은 것들. 

 
2, 

종종 이 세상 어딘가에 있을지도 모를 우물에 대해, 생각한다.
... 물론 이 말도 하루키 소설 속에 나오는 말이긴 하지만. 

살다가 어느 한 순간,
자신도 모르게 그 우물에 빠지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길 모퉁이를 도는 순간이거나,
혹은 문득 뒤를 돌아보는 그 순간일 지도......

아주 낯 선 거리,
낯 선 사람들 사이에서 흔적도 없이,
그 우물 속으로 사라져버리게 되는 것이다. 

산다는 것은 그런 것이다.
불가해한 우연들의 연속일 수도 있고.
어느날 갑자기 일어난, 도저히 믿을 수 없는 이야기들을
단지 사실이라는 이유로, 믿어야하는 경우도, 있다...  
 

내가 가진 언어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일들을
준비도 없이 맞닥뜨리게 될 수도, 있다는 것...

그것을 뭐라고 부르든간에 마찬가지다...

우물이나 늪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고,
함정이라거나,
혹은 필연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그냥, 운명이라고들 많이 이야기한다. 

 
3,

누구에게나 그런 시절이 있다.

맹목적인 고독을 감내하며
안으로, 안으로 무턱대고 파들어가던 그 시절.
어쩌면 생에 가장 순수하고
또 무모했던 시간들이었을지 모를 순간들...

그러니까 만약 순수라는 것이,  
자신에게 온전히 100퍼센트 몰두할 수 있는
그런 순간을 말하는 것이라면...

누구에게나,
그처럼 어리석을 정도로 순수했던 시간들이
존재했을 거라는 말이다.  

하지만, 또 만약
그런 순간들을 순수라고 부른다면
우리는 살아가면서 내내, 그 순수를 훼손당하는 셈이다. 

자신의 욕망에 정직하고,
자신의 고독에 깨끗하게 패배를 인정하면서 
자신에게 온전하게 100퍼센트 몰두할 수 있는 순간들은,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4,

그러니까 나는, 또 생각한다.

어쩌면...
나를, 잃어버리는 그 순간이,
바로 우물과 마주치는 그 순간인지도 모른다고... 말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 모두는,
우리가 받은 상처의 분량을 알지 못한다.

우리의 순수가 얼마나 훼손당하고
얼마나 세상과 교묘하게 타협하는지

상처받지 않기 위해,
다시 그 도저한 고독속으로 들어가지 않기 위해
얼마나 많은 '나'를 세상에 내어주는지...

알지 못한다.

 
5,

그러니까, 그런 순간들...
오로지 순수하게 나만을 위해 존재하는 시간과 공간을
다시 만날 수 있기를 바란다면,

그건... 단지 꿈에 불과한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