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세계 호러 단편 100선
에드거 앨런 포.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 외 지음, 정진영 엮고 옮김 / 책세상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액세일에 100편의 단편호러라... 큰 기대를 갖고 읽기 시작했습니다. 

첫번째 단편은 약간 이해가 안가는 문장들이 있었지만 넘어갔습니다. 

그런데 두번째 단편을 읽고 나니 도저히 더 읽을 용기가 나지 않더군요. 

오 헨리의 작품으로 제목이 The Furnished Room 이었습니다. '가구 딸린 방'이라고 번역했는데, 사실은 집없는 사람들이 전전하는 가구 포함된 셋방을 말하는 것이라 '가구 딸린 셋방'이라고 번역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을 갖고 읽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그건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이 소설의 내용은 한 청년이 셋방을 전전하며 헤어진 애인을 찾는 것인데 주인 아주머니의 거짓말로 그녀가 그 방에서 가스로 자살했다는 것을 모른 그가 애인의 향기를 맡고 똑같은 방법으로 자살한다는 이야기입니다. 그 핵심이 되는 문장은 이 청년이 자살하는 것을 묘사한 것인데, 다음과 같이 번역했습니다. (침대 시트를 갈가리 찢어 창문과 문의 틈새를 막은 후에) "그는 불을 껐다가 다시 환하게 가스 등불을 조절하고는 만족스럽게 침대에 누웠다." 어이가 없었습니다. 이 문장을 이해하지 못하면 이 이야기가 왜 무서운 이야기인지를 이해할 수 없는 것인데, 무슨 번역기로 번역한 것도 아니고 사람이 했다면 최소한 이야기를 이해하려고는 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게다가 역자 소개에는 호러소설을 매우 사랑하는 사람으로 써놓았던데... 실망이 컸고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역자 블랙리스트에 올려놓았습니다. 

 같은 소설의 앞부분에 이 방을 묘사하는 장면이 있는데, 두 개의 창문사이에 폭 삼십 미터의 거울이 있다고 써놓았더군요. 무슨 발레 연습실도 아니고 원문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모르지만 아무 의심없이 이렇게 번역해도 되는 건가요? 아무리 봐도 오타라고는 생각이 안되고... 

소설은 좋은데 번역때문에 읽기가 싫어지는 이런 경우는 독자를 두 번 죽이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돈낭비 시간낭비는 그렇다 쳐도 좋은 소설을 제대로 읽을 기회를 박탈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책은 리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ㅠ.ㅠ  

다른 피해자를 막기 위해서, 그리고 역자가 더이상 욕을 먹지 않도록 돕기 위해서 이 글을 썼습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urplefox 2010-08-11 14: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로서 관심가는 책이라 담아두려는데.... 서평을 보니 흥미가 뚝 떨어지네요. 번역이 얼마나 중요한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알비스 2010-08-20 0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직 책을 읽어보질 않아서 모르겠지만 furnished room을 집 없는 사람들이 전전하는 가구 포함된 셋방으로 말하는 것도 무리라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미주 지역에서 렌트를 하는 아파트의 경우 furnished room이 있는데 오히려 일반 아파트보다 더 비쌉니다.

고래밥 2011-01-11 16: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그는 불을 끄고 가스통을 완전히 열어 놓은 다음 자신의 몸을 침대에 눕혔다.'

'두 개의 창문 사이에 걸려 있는 한 자 넓이의 싸구려 거울'


----------------------------
말도 안되는 번역가들이 판을 치고 있군요...

티모 2017-05-08 15: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문제 제기하신 원문 해당 단락 올려놓습니다. 화가 나실만 하네요.
1. 가스 이야기 단락(마지막 부분)-방의 전등을 끄고 가스(스토브)(노브)를 끝까지 틀고...
The ebbing of his hope drained his faith. He sat staring at the yellow, singing gaslight. Soon he walked to the bed and began to tear the sheets into strips. With the blade of his knife he drove them tightly into every crevice around windows and door. When all was snug and taut he turned out the light, turned the gas full on again and laid himself gratefully upon the bed.

2. 거울 묘사 단락(마지막 부분)- 1피트를 30미터로? 아마도 센티미터의 오기겠죠?
The furnished room received its latest guest with a first glow of pseudo-hospitality, a hectic, haggard, perfunctory welcome like the specious smile of a demirep. The sophistical comfort came in reflected gleams from the decayed furniture, the ragged brocade upholstery of a couch and two chairs, a foot-wide cheap pier glass between the two windows, from one or two gilt picture frames and a brass bedstead in a corner.
 
데미안 우리말처럼 읽히는 리베르 세계문학 2
헤르만 헤세 지음, 정소진 옮김, 임영태 감수 / 리베르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대학생들에게 과제를 내주기 위해 제일 적합한 번역본을 찾는 중이다.

"우리말 처럼 읽히는" 번역이라는 말에 인용된 본문을 보았더니...

데미안은 당시에 내게 말하길, 우리는 아마도 존경하는 신 하나를 가지고 있겠지만 함부로 갈라놓은 세계의 절반일 뿐이고 그것은 그저 공식적으로 허용된 환한 세계일 뿐이라고 했다.

이를 한국말이라 할 수 있을지... 한숨이 나온다...

이 번역본을 사지도, 읽지도 않을 것이지만 각자 위 문장을 읽고 판단하시도록 지나가다가 써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 빈치 코드 2
댄 브라운 지음, 양선아 옮김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이와 비슷한 논란을 일으켰던 소설과 영화로 "그리스도 최후의 유혹"이라는 작품이 있었다.

      물론 카잔차키스를 댄 브라운과 비교한다는 것은 그야말로 격이 맞지 않는 일이겠다. 카잔차키스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대노할 일이다. 하지만 이 책이 훨씬 더 팔린건 사실이고, 비슷한 논란을 일으켰으니 한 번 비교해볼 만 하겠다.

      "최후의 유혹"은 그야말로 참인간으로 인간의 모든 조건을 받아들여 수난을 받은 예수에게 충분히 있을 수 있었다고 상상되는 십자가상의 유혹을 묘사함으로써 예수의 참존재를 더 깊이 이해하고자 하였고, 독자 스스로도 그것에 도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책이었다. 이 책을 통해 저자는 성서에 나타난 예수를 그의 상상력을 통해 더 깊이 묘사하는 새로운 '전기'를 쓰고자 했다.

      반면에 "다빈치 코드"는 똑같이 상상력을 발휘했다는 점 외에는 전혀 다른 의도를 가지고 있다. 예수의 사생활 중 대중의 흥미를 자극할만한 '코드'를 모아 적당히 포장하여 천박하게 열광할 수 있는 통속소설을 써낸 것이다. 저자의 글솜씨와 최대 권위에의 도전이라는 두 요인이 만나 이 재미있지만 공허한 추리소설을 만들어냈다.

       심심풀이로 읽기엔 좋지만 시드니 셀던 류의 시간죽이기 소설 이상의 의미를 둘 필요는 없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 빈치 코드 1
댄 브라운 지음, 양선아 옮김, 이창식 번역 감수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물론 다 빈치가 유머감각이 있다면 말이겠다...

      자신의 혼신을 바친 작품이 마음대로 왜곡되고 허구의 대상이 되는 것에 분개할 수도 있겠지만 기발하고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끌어내는 저자의 글솜씨에 미소를 지으며 읽을 수도 있겠다. 물론 여기 나오는 이야기들이 전혀 새로운 것들은 아니다. 성서와 그리스도교의 절대적 권위에 대항하여 나름대로 여러가지 상상들을 해왔던 많은 이들의 이야기들을 엮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은 믿는 이들도 열린 마음으로 '이런 상상도 할 수 있구나' 한다면 큰 갈등 없이 즐길 수 있는 책이라고 본다. 허구라는 것을 전제로 한 소설을 읽으면서 제대로 배우고 믿고 있는 내용에 의심을 갖는다는 것 자체가 불필요한 것이니 말이다.

      영화보다는 소설이 훨씬 낫다. 둘 중 하나만 보려면 소설을 보거나 최소한 소설을 먼저 읽기를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식물 세밀화 대도감
송훈 그림, 이병윤 책임감수, 김남일.이유미.이원규 세밀화 감수 / 현암사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간목록에서 보고 너무나 사고 싶었으나... 가격이 가격인지라 그냥 사지 못하고 동네 큰 서점에서 확인하려고 했다. 전화를 해보니 없다고 해서 그림이라도 보자고 어린이용 도감을 보았다. 그림은 좋았으나 아무래도 본책을 보고 싶어 시내에 간 김에 교보에 들렀다. 두터운 지질에 그대로 그려놓은 듯한 인쇄, 사진보다 훨씬 상세히 꽃을 확인할 수 있는 정밀한 그림을 보고는...

      알라딘에서 주문하려고 하니 마이리뷰가 없었다... 선뜻 사는 사람이 드문 까닭이리라... 아까운 1% 추가 마일리지... 나라도 써놔야겠다.

      아직 받지는 못했지만 너무나 기대가 된다. 마음에 드는 그림은 잘라서 액자로 만들 계획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