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사주
강성봉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9월
평점 :
누군가 그랬다. 신을 자처하는 사람이 왜 한둘이 아니냐고. 그 말처럼, 교주를 재림 신이라 주장하는 사이비가 적잖이 있다. 하늘이 내려보낸 신의 아들이 이렇게나 많던가. 세상을 이롭게 하라고. 하지만 그들이 일삼는 반인륜적인 행위는 성경에서 가르치는 교리와는 대척점에 서있다. 오히려 착취와 지배에 대한 욕망에 가깝다. 지배자에 반기를 들지 않는 순한 양. 불의에도 순응해야 하며 그러지 않을 시 집단 린치를 가하는 시스템. 통상적인 종교에서 말하는 사랑이나 평화, 화합은 찾아볼 수 없는 기이한 모습이다. 아이러니하게도, 탈인간을 말하는 교주는 인간의 욕망을 거리낌 없이 드러낸다.
너희가 안 믿어서 걔들이 죽는 거야. 그게 바로 지옥이야. 힘을 잃을까 두려워 아버지 선생님은 울부짖고, 믿음을 잃을까 두려워 신도들은 눈을 감는다. (본문 251쪽)
- 잘못을 바로잡을 기회를 주는 거야.
원장의 목소리에는 높낮이가 없었다. 아이들은 자신이 그런 짓을 당할 만큼 잘못을 저지르지 않았다는 걸 알지 못했다. 그러니 잘못을 바로잡을 필요도, 그럴 기회를 줄 이유도 없다는 것을 몰랐다. (본문 81쪽)
『파사주』에는 가상인 듯 아닌 듯 혼란스러운 서술이 곧잘 등장한다. 이러한 문장 뒤로 보이는 것은 소름 끼치도록 적나라한 현실의 그림자다. 어떤 장에서는 현실에 발붙이고 사는 사람들의 세계가 등장하는 한편, 어떤 장에서는 눈 뜨고 꾸는 꿈처럼 낯선 세계가 드러난다. 3인칭에도 불구하고 본문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에 한계가 생기는 것이다. 때문에 독자는 전지적으로 작중 상황을 이해하기보다는 유림의 시선과 해석에 기대어 받아들인다. 간혹 판타지처럼 느껴지는 요소들도 유림이 세상을 바라보는 프레임을 반영한 것이라면 일견 납득이 간다. 다만 유림이 목격한 것이 단순히 메타포에 그치지는 않는다. 어린 가인을 지키는 양옥집 주인들, 돌탑에서 유림과 해수를 둘러싼 가인들, 파사주 게임을 제안한 굴댕이, 숲의 신당에서 마주한 사슴. 그리고 마침내 땅속에서 솟아오른 가인들. 유림이 아는 면면들. 잊고 싶어도 잊을 수 없는 이름들이 살아나 사슴 형상을 한 아버지 선생님을 무찌른다. 유림이 마주한, 이 거대한 은유의 세계는 베일을 한 겹 둘렀을 뿐 현실과 다름 없다.
대호가 있었고, 정우와 미란이, 맹상도 있었다. 그리고 이름 모를 가인들도. 유림은 그들을 부른 적이 없었다. 늘 잊으려 했고, 지우려 했다. 그런데도 그들은 기어코 돌아왔다. 쫓아온 게 아니라 함께하려고 돌아온 것이었다. 유림 곁에, 바로 이 순간 그 자리에 서서 그것에 맞섰다. (중략) 일어나 같이 가자! 일어나 같이 가자! 일어나 같이 가자! (본문 253-254쪽)
익숙한 품에서 벗어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알에 갇힌 이에게 자신을 둘러싼 껍데기는 너무 견고해 보이므로. 학대여도 학대임을 모르고, 안다 해도 저항하기에는 두려움이 따르기 마련이다. 그러나 해수는 알았다. 다들 속고 있어. 아버지 선생님을 따르는 자들에게 몸이 짓밟히면서도 할 말은 해야 했다. 모두가 '예'라고 답하는 성전에서 이건 '아니'라고 외쳤다. 해수의 마지막을 본 유림에게도 균열이 생겼다. 눈앞의 생생한 비극을 지켜보며, 유림은 해수의 바통을 이어받는다. 파사주의 시작이다. 이 여정은 죽은 친구를 보내주는 과정이다. 갇힌 유림과 해수를 꺼내는 한풀이다. 넓은 세계로 떠나는 모험이기도 하다. 살아감에 있어 허락을 구해야만 하는 존재가 아니라, 그냥 내가 되기 위해서. 여정의 종착에 다다라 유림은 해수의 뼛가루를 날린다. 정해진 규칙을 파한다. 보란 듯이.
- 저건 우리 들으라고 하는 말이야. 이 일은 별거 아니고 자기는 곧 돌아올 거라고.
- 그럼 우린 어떻게 해?
- 그냥 우리 삶을 살면 돼.
(본문 278쪽)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