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로벌 - 지구 끝의 두 아이와 한 운명 ㅣ 미래그래픽노블 15
오언 콜퍼.앤드류 던킨 지음, 조반니 리가노 그림, 윤영 옮김 / 밝은미래 / 2025년 6월
평점 :

우리는 매년 수백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비롯
여러 온실가스를 대기로 내뿜고 있어요.
지구 온난화 역시 위험한 수준으로
우리가 사는 지구를 변화시키고 있어요.
기후 변화가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인 재앙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이렇듯 기후 위기는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닌
지금 현재 우리의 이야기에요.
지구 반대편에 사는 기후 변화로 위기에 직면한
두 아이의 이야기 <글로벌>
글로벌은 ’그래픽 노블‘ 이에요.
그래픽 노블((graphic novel) 은 만화의 한 형태로 소설만큼
복잡한 스토리라인을 가지고 있어요.
오락적 요소를 넘어 예술적 가치와 문학적 성취를 추구하며
깊은 감동과 여운을 선사해요.
일반적으로 단행본 형태로 출판되요.


인도양 뱅골만 어촌에 사는 사미.
기후 변화로 인한 잦은 폭풍과 해수면 상승으로 삶의 터전을 위협받고 있어요.
집들을 다시 위로 옮기거나 방파제를 더 세우는 것으로는 소용 없어요.
몇 차레 사이클론으로 이미 부서졌어요.
새 방파제 이야기로 싸울 시간에
물고기를 더 잡아 식량을 보존하거나 마른 잠자리를 만들어야해요.
이런 의견들 따위 바다는 신경 쓰지 않아요.
달라지지 않아요.


북극 이누이트 마을에 사는 유키.
지구 온난화로 얼음이 녹고
생활 터전이 파괴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우리는 계속 가요.
점점 더 빨리 걸어요.
햇볕이 따뜻해 걷다 보면 열이 나요.
우린 얼음 위에 있고
강물에 떠내려가는 중이에요.
어딘지 모를 곳, 정말 큰일이에요.

두 아이는 지구 반대편에 살고 있지만
기후 위기로 인한 고통과 생존을 위한 투쟁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요.
두 아이가 처한 운명을 번갈아 보여주는
스토리가 흥미로웠어요.
이곳 뱅골만, 인도양.
항해, 고지잡이, 잠.
매일매일 하지만 지금은 배가 좀 더 커졌고
잡히는 물고기도 조금 늘었어요.
마을은 복구되었어요.
모든 게 새로 세워졌어요.
모든 게 제 자리를 찾았어요.
그곳 캐나다 북부, 북극권 안.
위급 상황에서 날 잡아먹지 말라고
휴대폰 플래시를 터트리며 찍은 사진이
전시회에서 종합 1등을 차지했어요.
모르는 사람의 SNS 메시지를 받은 유키.
사미가 누구지?

"세상의 끝에서도 희망은 있다."
두 아이는 역경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요.
"우린 함께니까 뭐든 할 수 있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교류하며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고
함께 역경을 극복해 나가는 과정에서 함께라는 단어가 주는 힘은 강력했어요.
"이곳이 우리의 새로운 시작이야."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새로운 시작을 다짐하는 두 아이의 모습에서 밝은 희망을 만났어요.
<밝은미래 출판사 서포터즈 써니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솔지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