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아와 파이의 지구 구출 용감한 수학 6 - 매미는 왜 소수를 좋아할까? 루아와 파이의 지구 구출 용감한 수학 6
남호영 지음, 김잔디 그림 / 한솔수북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연의 원리는 수학이에요!

세상 모든 것에는 패턴이 있고

수학은 그걸 우리에게 알려줘요.

수학의 시작은 호기심이고 그 다음엔 용기.

함께 하면 재미있고 쉬워져요!













서울대 출신 수학박사 남호영의 흥미진진한 스토리 수학.

1. 바닷가의 다각형 기둥

2. 공룡 발자국에 뒹구는 거야

3. 무당벌레들이 다툼

4. 소수를 좋아하는 매미

5. 꽃잎에 새겨진 수

용감한 수학 시리즈는 10권까지

계속 출간된다고해요 🎶🎵📚












귀야가 수를 읊으며 걷고 있어요.

2,3,5,7,9,11,13 ... 17

소수는 정말 아름다운 수.

이젠 수를 보면 소수인지 아닌지

느낌이 온다는 귀야와 루아.

198은 소수인가요?

소수 중 짝수는 2밖에 없어요.

다른 짝수들은 2가 약수에요.

수학을 잘하려면 눈치도 있어야해요.

매미는 땅속에서 애벌레로

나무뿌리의 수액을 먹으며 17년을 지낸다고해요.

그리고 땅 위로 올라와 껍질을 벗고 지금의 매미가 되죠.

13년을 살다가 올라오는 매미도 있어요.

13,17 매미들은 소수를 좋아하나봐요.

짝짓기 상대가 없어 후손을 남기지 못한 매미도 있어요.

15년 매미는 15년마다 알을 낳고 죽고

18년 매미는 18년마다 알을 낳고 죽었어요.

수명이 15년인 매미와 18년인 매미가

짝짓기를 하면 수명이 버려요.

공배수가 커야 수명이 섞이는 일이 적어서

살아남을 수 있어요.

그래서 17이 소수이기 때문에 수명이 소수인 게 중요해요.

만화식 구성과 캐릭터들이 들려주는

이야기가 재미있어요 🎶🎵

호기심, 용기 그리고 <용감한 수학> 수학이 재미있고 쉬워질거에요.

<한솔수북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