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썸 탈 때 틀리면 정떨어지는 맞춤법 - 당신의 지적 호감도를 지켜 줄 최소한의 맞춤법 100
김다경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5년 8월
평점 :
#썸탈때틀리면정떨어지는맞춤법 #김다경 #포레스트북스 #맞춤법 #문해력 #도서제공

얼마 전 모 국회의원의 ‘소정의 절차’ 발언이 이슈로 떠오른 적이 있다. SNS를 통해 짧고 자극적인 콘텐츠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단어의 본래 의미나 맥락을 이해하지 못한 채 왜곡된 정보가 퍼지는 일이 빈번하다. ‘시발점’을 욕으로, ‘금일’을 금요일로, ‘중식 제공’을 중국 음식 제공으로 오해하는 경우처럼, 전 세대에 걸쳐 문해력 저하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글쓰기에 관한 책은 많지만, 평소 자주 실수하는 기본 문법과 어휘를 다룬 책은 드물다. 이 책은 실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문법, 다양한 용례, 외래어 규정, 띄어쓰기 등을 쉽고 재미있게 담아냈다. 등장인물들의 개성 있는 말투와 상황 설정, 작가의 재치 있는 설명 덕분에, 실제 대화나 글쓰기에서 실수를 줄이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실용서다.
___
‘안’은 ‘아니’의 준말이고, ‘않’은 ‘아니하-’의 준말.
‘아니’를 넣어 자연스러우면 ‘안’, ‘아니하’를 넣어 자연스러우면 ‘않’을 쓰면 된다.
ex) 안/않 보고 싶다. → 아니 보고 싶다. vs 아니하 보고 싶다.(?)
‘아니 보고 싶다’가 자연스러우므로 정답은 ‘안 보고 싶다’
___
‘예요’는 ‘이에요’의 준말.
‘최고예요’처럼 받침이 없는 명사 뒤에는 ‘-예요’가 오고,
‘최악이에요’처럼 받침이 있는 명사 뒤에는 ‘-이에요’가 온다.
단 예외는 언제나 있는 법!
1) ‘아니에요’에서 ‘아니’에는 받침은 없지만 ‘아니예요’가 아닌 ‘아니에요’로 쓴다.
왜냐면 ‘아니’는 명사가 아니라 형용사의 어간이기 때문.
2) 사람 이름에 접미사 ‘-이’를 붙일 때
ex) 제 첫사랑은 정음이예요.
‘정음+ -이’가 한 덩어리라서 ‘정음이+예요’가 된다.
3) ‘-이’로 끝나는 명사일 때
ex) 원숭이예요. 옷걸이예요. 연인 사이예요.
‘원숭이’, ‘옷걸이’, ‘사이’가 한 덩어리이므로 ‘원숭이+예요’, ‘옷걸이+예요’, ‘사이+예요’가 된다.
___


#썸탈때틀리면정떨어지는맞춤법
서평을 쓰면서 띄어쓰기는 물론이고, 가끔 어휘 실수를 하게 된다. 그런데 알고 실수하는 것과 모르고 실수하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 특히 자주 쓰는 표현일수록 기본을 단단하게 다져야 한다. 가방에 돈지갑만 넣고 다닐 게 아니라, ‘언어지갑’인 이 책도 꼭 챙겨보시길... 강추! 강추! 강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함>
저자: 김다경
출판사: 포레스트북스 @forest.kr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