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아홉 담장을 뛰어넘는 아이들
문경보 지음 / 마음의숲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아홉담장을뛰어넘는아이들 #문경보 #마음의숲 #도서협찬




반딧불이는 환한 태양 앞에 바로 나가기에는 아직 풀어야 할 아픔이 많은 존재일지도 몰라. 그럴 때 우리들은 서로에게 밀양이 되어 조금씩, 조금씩, 서두르지 말고 천천히 그 친구 앞에 빛을 보여주면 어떨까? 반딧불이가 태양에 적응할 수 있을 때까지 조용히 뒤에 서서 말이야. 그러다 보면 반딧불이는 빛나는 동시에 빛을 즐길 수 있는 존재라고 생각하게 되지 않을까?<p88~89> (밀양: 비밀스러운 햇빛, 숨겨진 햇빛)


세상의 밝은 빛 앞에서 아직 준비되지 않은 우리 아이들의 모습은 어둠 속에서 스스로 길을 찾으려 애쓰는 반딧불이와 닮아있다. 진로진학 상담 35년, 문경보 선생님께서 만난 수많은 아이들 중에는 혼란과 방황의 성장통을 딛고 자신만의 길을 찾아 걸어가는 아이들이 있다.


이 책은 밤바다의 등대처럼, 방황하는 청소년들이 자신만의 빛을 발견하고 세상을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환한 불빛을 밝혀주고 묵묵히 곁을 지켜 준 선생님의 이야기가 고스란히 담겨있다.


<4년제 대학을 졸업한 9등급 손자>

할머니와 단둘이 사는 채빈이의 성적은 9등급이다. 중학교 시절 채빈이는 전교에서 손꼽히는 우수한 학생이었기에 할머니는 전국 9등으로 알고 계신다. 공부를 제외한 학교생활은 누구보다 잘하는 아이, 성적이 아닌 다른 길로 진학한다면 어떤 대학이든 갈 수 있을 함채빈.

#오늘힘든친구야_힘들면그사람생각하면서한끼식사하렴


그러나 채빈이는 대학 입학보다 더 먼 미래를 바라보며 살아가기 위해 오늘도 노래방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전단지를 돌린다. 10여 년이 흐른 후 채빈이는 PC방 사장이 되었고, 할머니의 유언에 따라 광운대학교를 졸업했다.

#돌아가신분들이_산사람을살릴때가있다


“할머니 바다는 왜 파래요?”

“파도가 바위에 부딪히다가 멍들어서 그래. 이 할망처럼 가슴이 아파서 그래.”<p46>


<커피와 눈물을 알아차린 바리스타>

어릴적 부모님이 이혼하고 카페를 운영하는 엄마랑 사는 강훈이. 외로움을 참고 참느라 감정을 조절하는 힘마저 약해진 아이, 세상이 자기를 버리고 떠날까 봐 만남부터 두려워 세상을 외면해야 하는 아이, 수업 시간에는 잠을 자고, 타인의 얼굴을 마주할 힘조차 없는 염강훈. 중학교 때 가슴이 답답하고 숨을 쉴 수 없을 때마다 자해를 했다.

#소극적공격성의밑바탕에는_날버리지마세요라는말이숨어있다


엄마를 대신해 운영하던 카페가 문을 닫자 외국으로 여행을 떠났다. 군 복무를 마친 후 다시 여행을 시작했고, 커피와 관련된 곳이나 작은 카페가 있는 장소들을 자주 방문하며 새로운 길을 찾고 있다. 이젠 어떤 바리스타가 되어 어느 곳에 정착할지 고민 중이다.

#시간의힘을믿고_적당한줄다리기를하며_기다려줘야한다


“넌 지금 아픈 상태야. 나쁜 놈이 아니고 아픈 사람이야.”

“아프다고요? 아픈 것은 뭐고, 나쁜 것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인데요?”

“억울하고, 외롭고 그래서 화가 나고, 거기서 시작된다는 점에서 나쁜 것과 아픈 것은 비슷하지. 그런데 나쁜 사람은 다른 사람이나 주변에 해를 끼치는 행동을 하게 되지. 아픈 사람은 자신을 공격하는 행동을 하지. 다른 사람에게는 걱정을 끼치는 거고.”<p52>


#열아홉담장을뛰어넘는아이들

상처가 준 선물로 가득한 인생, 나를 믿어주고 포기하지 않고, 기다려 주는 사람이 한 사람만 있어도 우리는 삶을 포기하지 않고 나아갈 힘을 얻는다. 위의 사례 이외에도 소설가의 꿈을 이루기 위해 전학을 선택한 하늘이, 사회학을 공부하고 싶은 탈북 청년 민철이, 실용음악과에 합격한 고등학교 동창생의 아들 희승이의 이야기 등, 교육현장에서 직접 경험한 생생한 사례들이 담겨있다.


각 장의 끝에는 선생님의 따뜻한 인생 조언이 담겨있어 더욱 의미 깊고 감동적인 책이다.

어린 자녀를 둔 부모님은 물론,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을 마주하는 분들이 읽으면 깊이 공감할 만한 내용이 가득하다. 선생님의 말씀처럼 이 책이 씨앗이 되어 많은 분들의 가슴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기를 바란다.


“문학판은 경쟁하는 자리가 아니야. 저마다의 꽃을 피워내는 자리야. 그러니까 비교하려는 마음은 내려놓는 것이 좋아.”<p98>


“네가 할 일은 완벽한 현실을 택하는 것이 아니라 완벽한 세상을 향해 가는 길에서 작은 역할이라도 하면서, 지금보다 조금은 나은 세상을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닐까?”<p114>


“오늘 네가 힘들고 억울하고 불안해도 너는 너에게 늘 고마워하길 바란다. 미래의 행복한 너를 위해 오늘 네가 애써주고 있는 거잖아.”<p151>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함>

저자: 문경보

출판사: 마음의 숲 @maumsu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