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변명 - 기독교와 유대교, 메시아를 둘러싼 왜곡의 역사 옥성호의 빅퀘스천
옥성호 지음 / 파람북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으면서 저자에게 공감하는 대목이 원죄론이다. 초등학교 때 첫영성체 교리 첫 시간에 가톨릭 교리의 구원 여정을 설명할 때도 원죄 교리에서 시작한다. 하지만 그 원죄론이 초기 그리스도교 시절부터 있지 않고, 아우구스티누스 때부터라는 이야기는 훗날 신학을 전공한 지인에게서 들었다. 원죄론을 비교적 충실하게 받아들였던 시절에 의문이 하나 있었다. 만약 하느님이 자신의 아들을 대속의 희생양으로 삼아 인간을 죄로부터 해방시켰다면, 유다야말로 배신자가 아니라 하느님의 심부름꾼 아닌가.

 

책을 쭉 읽어가다 저자가 아리우스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대목이 인상적이다. 사실 지금 거의 모든 그리스도교는 아타나시우스의 승리를 기반으로 형성되었다. 수많은 그리스도교의 지류가 자잘한 교리적 차이가 있음에도, <니케아 신경>은 공유한다. 그런데 나는 개인적으로 아리우스의 입장에 더욱 공감이 간다. 하느님 보기에 너무도 사랑스러웠던 한 인간, 그가 결국 하느님의 아들이 된다. 오히려 그렇게 이해할 때 예수가 우리에게 더욱 가깝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예수를 신으로 고백할 때 고개가 갸우뚱해지는데, 아리우스의 입장에 선다면 그럴 여지가 생긴다. 심정적 아리우스주의랄까.

 

저자는 구약, 철 지난 약속이 아니라 영원한 약속이라 한다. 그래서 굳이 구약이 아니라 히브리 성경이라는 표현을 쓴다. 히브리 성경이 구약으로 재구성됨으써, 유대교에서 이야기하는 매우 중요한 메시지가 소멸되어버린다. 에덴 동산 이야기가 갖고 있는 인간 성장의 메시지, 유대교의 현세 중심성, 사탄보다 훨씬 위대한 인간, 나약하지 않고 스스로 책이질 수 있는 인간의 가능성 등. 사실 이러한 대목은 그리스도교가 쇄신되면서 제기되는 내용이기도 하다.

 

굳건한 신앙이 반드시 도그마에 대한 충실함일 필요는 없다. 조금만 서양사를 들여다봐도 1225일이 예수가 탄생한 날이 아니라, 조로아스터의 분파인 미트라교의 축일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성경에 대한 축자적 믿음이 지구 나이 6,000년이라는 코메디를 낳는다. 도그마의 불완전성에 대한 이해 결핍은 성경에 대한 축자적 믿음의 연속으로 이어진다. 그렇다고 도그마 자체가 의미 없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천의무봉의 편집 과정을 거쳐 고도로 숙성된다.

 

저자의 기본적 논지에는 그리스도교에 대한 비판적 입장이 스며 있다. 이제 사람들은 그리스도교가 개혁의 주체가 아니라, 개혁의 대상이 되었다고 말한다. 그리스도교는 어쩌면 재편집과 재숙성의 과정에 직면했는지 모른다. 이 책은 그리스도교에 대한 부정이라기보다 그렇게 읽힌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8-07 17: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신의 변명 - 기독교와 유대교, 메시아를 둘러싼 왜곡의 역사 옥성호의 빅퀘스천
옥성호 지음 / 파람북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땅의 그리스도인에게 깊은 영감을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 번째 여왕 백 번째 여왕 시리즈 1
에밀리 킹 지음, 윤동준 옮김 / 에이치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가 마음에 들어요. 페이스북 예고편 보고 주문했답니다. 기대 만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오늘부터 화를 끊기로 했다 - 사랑하는 사람에게 상처주지 않는 연습
레너드 셰프.수전 에드미스턴 지음, 윤동준 옮김 / 생각의서재 / 2018년 3월
평점 :
품절


요즘 많은 사람이 분노조절장애에 시달린다. 적절한 화는 정신 건강에 나쁘지 않겠으나, 그것이 습관화되는 것은 아닌지도 살펴봐야 한다. 화를 제대로 다스리지 못할 때, 생겨나는 폐해가 무척 많기 때문이다. 이 책은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관계를 보살피고 돌보는 기술을 일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오늘부터 화를 끊기로 했다 - 사랑하는 사람에게 상처주지 않는 연습
레너드 셰프.수전 에드미스턴 지음, 윤동준 옮김 / 생각의서재 / 2018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전반적으로 불교적 수행을 바탕으로 화를 대면하게 한다. 불교는 기본적으로 의식과 각성 속에서 삶을 대하라고 한다. 그런 '깨어 있음'으로 화를 대하는 것이다. 일종의 정면 도전이다. 어쩌면 화가 날 때 버럭 화를 표출하고, 통제하지 못 하는 것이 회피일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이 책에서 제기하는 화와 대면하는 방식은 꽤 설득력이 있다. 사회가 복잡하게 돌아가면서 온갖 화가 곳곳에서 솟아난다. 하다 못해 주차 문제만 해도 심하면 칼부림을 부른다. 타인과 관계에서도 필요 이상의 화는 많은 폐해를 낳는다. 화를 통제하는 방식은 궁극적으로 자기와 자신을 둘러싼 관계를 보살피는 기술이 된다.

 

화병은 정말로 병 중에서 무서운 병이다. 만병의 근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병은 화를 제대로 표출하지 못해 생길 수도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잘 다스리거나 삭히지 못해 심해질 것이다. 고도성장기를 거친 한국사회는 정말로 화를 부르는 사회다. 사회적으로는 분노를 자아내는 일이 넘쳐난다. 기득권자의 온갖 부정부패와 힘 없는 사람들의 억울한 사연 등. 이런 데 따르는 화는 그래도 정당하고 연대의식의 소산일 수 있겠다 싶다. 그 화를 건강한 방향으로 잘 이끌어간 것이 지지난 겨울의 촛불혁명이었다고 생각한다.

 

사회적 화는 결국 개인이 직접 경험하게 된다. 그것이 개개인에 직접 와닿을 때 화를 실감한다. 이 책은 여러 원인에서 발생한 화가 나에게 닥쳐왔을 때, 그것을 어떻게 응시하고 처리하는지 적확하게 일러준다. 책에서 말하는 화를 응시하고 관찰하는 지점에 크게 공감한다. 그런 자세는 정말 화를 낼 일에 화를 내는 것인지, 아니면 습관적으로 화를 내는 것인지 식별하는 힘을 준다.

 

화라는 주제로 잡아본 책인데, 화를 접근하는 깊은 관점은 삶의 다른 측면과 관련해서도 많은 생각거리를 준다. 화로 시작하지만 더 깊게는 자신을 총체적으로 돌아보게 해준다는 점에서 이 책은 수월하게 잘 읽히면서 매우 유용한 책임에 틀림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