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오늘부터 화를 끊기로 했다 - 사랑하는 사람에게 상처주지 않는 연습
레너드 셰프.수전 에드미스턴 지음, 윤동준 옮김 / 생각의서재 / 2018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전반적으로 불교적 수행을 바탕으로 화를 대면하게 한다. 불교는 기본적으로 의식과 각성 속에서 삶을 대하라고 한다. 그런 '깨어 있음'으로 화를 대하는 것이다. 일종의 정면 도전이다. 어쩌면 화가 날 때 버럭 화를 표출하고, 통제하지 못 하는 것이 회피일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이 책에서 제기하는 화와 대면하는 방식은 꽤 설득력이 있다. 사회가 복잡하게 돌아가면서 온갖 화가 곳곳에서 솟아난다. 하다 못해 주차 문제만 해도 심하면 칼부림을 부른다. 타인과 관계에서도 필요 이상의 화는 많은 폐해를 낳는다. 화를 통제하는 방식은 궁극적으로 자기와 자신을 둘러싼 관계를 보살피는 기술이 된다.

 

화병은 정말로 병 중에서 무서운 병이다. 만병의 근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 병은 화를 제대로 표출하지 못해 생길 수도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잘 다스리거나 삭히지 못해 심해질 것이다. 고도성장기를 거친 한국사회는 정말로 화를 부르는 사회다. 사회적으로는 분노를 자아내는 일이 넘쳐난다. 기득권자의 온갖 부정부패와 힘 없는 사람들의 억울한 사연 등. 이런 데 따르는 화는 그래도 정당하고 연대의식의 소산일 수 있겠다 싶다. 그 화를 건강한 방향으로 잘 이끌어간 것이 지지난 겨울의 촛불혁명이었다고 생각한다.

 

사회적 화는 결국 개인이 직접 경험하게 된다. 그것이 개개인에 직접 와닿을 때 화를 실감한다. 이 책은 여러 원인에서 발생한 화가 나에게 닥쳐왔을 때, 그것을 어떻게 응시하고 처리하는지 적확하게 일러준다. 책에서 말하는 화를 응시하고 관찰하는 지점에 크게 공감한다. 그런 자세는 정말 화를 낼 일에 화를 내는 것인지, 아니면 습관적으로 화를 내는 것인지 식별하는 힘을 준다.

 

화라는 주제로 잡아본 책인데, 화를 접근하는 깊은 관점은 삶의 다른 측면과 관련해서도 많은 생각거리를 준다. 화로 시작하지만 더 깊게는 자신을 총체적으로 돌아보게 해준다는 점에서 이 책은 수월하게 잘 읽히면서 매우 유용한 책임에 틀림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