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태주의 행복수업
김지수 지음, 나태주 인터뷰이 / 열림원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주사람 나태주의 행복한 이야기.

나태주 시인의 시는 쉽게 읽혀지면서도 아름답다.

그런 나태주 시인을 만난 김지수의 에세이.

술과 권력에 취하면 노추의 거인이 되지만, 자연에 취하면 순해진다는 나태주 시인의 말들은 그 안에 시가 있는것 같다.

시인과 동화작가는 이란성 쌍둥이 같다는 그의 말은 가슴을 따스하게 만들어주면서도 각박한 세상에서의 시와 동화의 의미를 다시금 떠올리게 한다.

박목월 선생의 작품중 <임>이라는 시의 '눈물로 가는 바위'의 '가는'은 '갈아 내다'라는 뜻이란다. 사랑의 의미를 이야기 하면서 눈물로 바위를 갈아낸다는 뜻을 이야기 하는 것은 사랑이란것을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운, 또는 너무 아픈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아이리스 꽃을 잘라 새 땅에 심어야 새로운 꽃이 핀다는 그의 말은 한곳에 머물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따끔한 일침이 되어준다.

나태주 시인의 시는 한번 들으면 쉬이 잊혀지지 않는다. 그런 그의 시를 읽고 자란 아이들은 나태주 시인의 팬이 되고, 그의 빽이된단다. 이 얼마나 아름답고 훌륭한 일인가. 아이들의 그의 진가를 알고 그의 뺵이 되기를 자처 했으니 말이다.

사랑은 내말을 들어주는 귀라고 이야기 하는 그의 사랑은 책안에 아내의 대한 사랑이 흘러 넘쳐 글로만 봐도 달콤하다.

행복은 그저 저녁때 돌아갈 집이 있다는 것이라는 그의 시처럼 아등바등 사는 세상에서 잠시 쉬어가라는 이야기 인것 같아 어느새 마음이 편안해 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