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벤지 - 푸른 눈의 청소부
최문정 지음 / 창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시도 눈을 뗄 수 없는, 청소부의 이야기.

청소부보단 좀더 좋은 단어가 어울리는 소설의 주인공이다. 

더러운 쓰레기를 치우는 것은 맞지만, 쓰레기를 치우며 정의를 세우는 사람이니까.

소설을 읽다가 눈살을 찌뿌리고, 자꾸 TV에서 보던 파렴치한 범죄자들이 오버랩되었다.

하지만 우리사는 세상엔 이런 청소부가 없으니 청소부의 활약상엔 진짜 소설이구나 하며 시간 가는줄 모르고 읽었다.

빵빵한 변호사를 대동한 범죄자를 심판했다는데, 누가 수사를 맡을것인가.

얼떨결에 맡게된 민수와 희성은 열심히 피의자를 찾지만, 세상의 여론은 피해자가 아닌 피의자의 편을 들어주고 있었다.

악을 없애는건 결국 더 강한 악이라는 뜻을 지닌 나자르 본주를 지닌 강력계 형사 희성은 파트너인 민수와 함께 용의자를 추정하지만 뜻대로 수사는 진행되지 않는다.

이 책은 청소부인 범죄자를 처단하는 주인공의 시점과 범죄가 일어나고 범죄를 해결하는 현재 시점이 교차되어 서술된다.

이러한 서술방식은 과연 청소부가 누굴지, 어떤 시련을 겪었기에 이러한 일들을 자행하는지 더욱 궁금하게 만든다.

주인공이 왜 악을 공포가 아닌 친숙하고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존재로 믿게 되었는지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부분은 청소부의 행동이 이해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희성이 다이어리를 잃어버린 사건에선 드디어 소설의 절정을 향해 달려간다.

이 책에 나오는 범죄자들은 정말 하나같이 어쩜 이리도 사람같지 않는 짐승들인지 현실세계와 분간이 되지 않을 정도이다.

청소부를 찾기 위해 범죄자들의 피해를 입은 피해자들을 용의자로 특정해 수사를 진행하지만 피해자들의 이야기는 우리가 감히 상상도 하지 못할 정도로 아픔을 갖고 있음을 소설을 통해 다시한번 느꼈다.

점점 결말을 향해 갈수록 희성이의 '악을 파괴한다고 선은 아니며 오히려 더 강한 악일수도 있다'는 말은 극악무도한 인간 쓰레기들을 바라보는 우리들의 마음은 아닐까.

민수와 희성의 수사는 어떻게 진행되며 과연 범인은 누구일지. 책을 펼치면 결코 끝날때까지 책을 놓을 수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