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길 위의 인문학 - 산책길에서 만난 역사, 2022 올해의 청소년교양도서 ㅣ 길 위의 인문학 1
김정남 지음 / 스마트북스 / 2022년 6월
평점 :
산책하며 만나는 우리의 역사와 문화.
길위의 인문학이라고 하여 가벼운 마음으로 읽었다가 무거운 마음으로 책을 닫았다.
이 한권에 우리나라의 아픈 역사들이 있어 결코 가벼운 산책이 아닌 마음 가득한 역사를 기억하고픈 마음을 가득 채운다.
우리가 무심코 걷고 있는 길은 우리의 역사위에 지어졌음이 분명하다. 하지만 우리는 가끔 망각하며 우리가 잘하여 좋은 시대를 살고 있는것 같은 착각속에 산다.
힘들고 아픈 역사위의 길을 걸을때 우리는 그 길위에서 무엇을 느낄 수 있을까.
이 책은 우리나라의 역사위에 산책길 16곳을 선택하여 그 위에서 우리가 결코 잊어서는 안될 역사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 길에서 일어난 역사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주며 각각의 길위에 그 길이 가진 이야기를 덧붙이기도 한다.
서울 북촌한옥마을길위에서는 학습거리로만 채워진 교과서의 단점을 이야기 하며 더 큰 역사의 흐름을 들려준다.
화성 성곽길위에서 알게된 철저하게 반영된 경제 논리는 정조의 효심만으로 알려진 화성의 또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백담로에서 만해 한용운 스님뿐 아니라 춘성대선사의 이야기도 결코 놓쳐서는 가르침을 준다.
하회마을의 역사를 논하며 말하는 '허씨 터전에 안씨 문전에 류씨 배반'이라는 말은 이 책을 통해 더욱 친근하게 와 닿는다. 그 길위의 류성룡의 이야기는 우리나라의 역사를 바로 세운 사람들의 굳센 의지를 더욱 잘 느끼게 해 준다.
한산도에서의 이순신 장군의 이야기는 자랑스러움과 이순신 장군의 안타까운 생애도 함께 있어 더욱 안쓰러움을 느끼게 되는 길이다.
감천 문화마을길의 마을 사람들의 따스한 이야기는 그들의 마음속 마을이 어떻게 자리잡고 있는지 자랑스러움이 묻어나와 미소를 짓게 만든다.
제주도의 4.3이야기는 이제는 더이상 묻어둔 진실이 아닌 우리와 함께 숨쉬고 보호받아야 할 이야기라서 애가쓰인다.
산책으로 우리나라의 역사를 다시금 되새겨볼 수 있는 시간을 주는 이 책을 통해 빨리 그 길위에 서 있고 싶어지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