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노이의 길 - 엇갈린 남·북·미의 선택
라종일.김동수.이영종 지음 / 파람북 / 2022년 2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303/pimg_7502062133328484.jpg)
하노이에서의 미국과 북한의 만남과 이야기.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303/pimg_7502062133328485.jpg)
2019년 하노이에서는 거구의 두 정상이 만나고 있었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그들이다.
그날 하노이의 취재열기는 어느곳보다 뜨겁고, 전 세계에서 그 둘을 주목하고 있었다.
과연 회담에서는 무슨일이 있었고, 그 회담의 결과는 무엇일까.
그리고 북한과 미국이 만남을 가질때 우리나라의 역할은 무엇이었을까.
정치학 박사들의 북한 이야기기 이 책에 담겨 있다.
회담이 열리기전의 우리나라의 이야기에서는 중앙일보와 시사저널들에 실린 이야기로 시작한다. 그 이야기와 함께 저자들의 생각들을 같이 첨부하여 회담의 중요성을 이야기 한다.
또한 조선일보의 논평도 같이 실어 회담에 대한 사실보다는 저자들의 생각이 주를 이루고 있다. 가령 응원단 멤머들의 이야기나 올린픽 전야제등의 이야기들이 그것이다.
아방카와 김정숙 여사와의 만남도 그저 사교적인 활동이라고 칭했다.
북미간의 근복적인 문제를 한마디로 정의 하였는데, 북한이 미국에 핵물기와 핵물질을 신고하는 것이라고 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정책이 전무가들 사이에서 크게 인정을 받지 못한다는 이야기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의 인간적인 접촉을 중요하시는 모습도 있다는 반전의 모습을 보인다고 한다.
회담전과 회담중, 그리괴 회담 후의 이야기를 다루면서 결국엔 결렬된 회담의 비판으로 끝난다.
조선중앙통신의 미국의 일방적인 비핵화 요구에 대한 비난이 있었으며, 그 후 우리나라와 미국과의 북한이 바라는 문제를 도출하지 못했다고 한다.
회담의 결렬로 인해 겉에서 보기에 큰 일은 벌어지지 않았지만 그 회담이 끝이 아니것을 알기에 아직 대북정책을 비난만 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조선일보, 중앙일보의 사설과 논평을 직접적으로 보니 북한에 대한 그들의 생각이 무엇인지 다시금 느낄 수 있었다.
지금도 정치권 이슈중 핫한 대북 정책. 과연 어떻게 대북정책이 이뤄질지 궁금하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303/pimg_7502062133328487.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