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이언스 픽션 - 과학은 어떻게 추락하는가
스튜어트 리치 지음, 김종명 옮김 / 더난출판사 / 2022년 1월
평점 :

과학과 상상이 만나면 벌어지는일!

과학은 항상 사실만을 이야기 하고, 과학적 상상은 허무맹랑한 말이라고들 한다.
하지만 이러한 과학이 상상을 포함하고 있다면?, 그것도 항상 진실만을 증명해야 하는 논문이나 학계 저널에서 일어난다면?
이런 일들이 실제로 벌어지고 있다는 놀라운 이야기가 펼쳐진다.
과학적 사실을 증명하기 위하여 과학자들은 몇천번의 실험을 통해 결과값을 도출하고 그 안에서 유의미한 실험값을 정리하여 새로운 과학적 이론을 정립한다.
하지만 몇천번의 실험이 단 몇번의 실험으로 대체되고, 유의미한 실험값대신 무의미한 실험값이 그 자리를 대신하는 일이 현재 과학계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한다.
이 책은 언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프라이밍 효과'는 이미 과학적으로 증명이 됐다고 믿고 있지만 사실 프라이밍 효과는 극히 미미하다는 글을 시작으로 과학의 어두운 단면을 끄집어 내고 있다.
논문과 실험에서 어떤 점들이 픽션인지, 또 어떤 일들로 인해 과학적 사실이 거짓으로 판명되고 있는지 여러가지 논문과 사실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픽션들 중 젠더 현상에 대해서도 이이갸 하지만 이 또한 남성과 여성의 기본 비율을 인지 하지 못한 결과로 인한 사실임을 설명한다.
이 책의 대단한 점은 몇 백편의 논문을 일일이 예로 들어 어떤 점들이 과학적인 상상을 지니고 있는지 이야기 한다. 얼마나 많은 공을 들여 과학의 어두움을 세상에 끄집어 냈는지 알수 있는 대목이다.
서로 다른 시나리오의 메타분석 결과를 통해 왜 이러한 사실들이 과학적으로 용인될수 없는지 설명한다.
생물학적 실험에서 중요한 셀라인 오식별 문제를 통해 셀라인의 오염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설명한다.
하지만 이러한 과학적인 픽션을 재거하기 위한 노력들을 소개하며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려주기도 한다.
일부 과학자들의 질보다 양을 우선시한 사항들, 부정적인 결과는 숨기는 편향 스킬등을 소개하며 과학계에 만연한 부정을 이야기 한다.
이 책은 과학자들의 실수 인지 혹은 조작인지에 대한 설명을 통해 과학계에 만연한 잘못을 소개하고 있지만 이것은 과학계의 잘못만을 지적하는 것이 아닌 이를 통해 더 나은 방향으로 과학계가 나아가야 할 것을 일러주고 있다.
논문을 한번이라도 본 사람이 보면 더욱 좋을 사이언스 픽션. 사이언스 픽션이 사이언스 팩트가 되는 그날이 꼭 오기를 소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