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크의 정부론 - 권력의 기원을 찾다 EBS 오늘 읽는 클래식
김성우 지음,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획 / EBS BOOKS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정부가 필요하며, 어떤 정부를 원해야 하는가.

Government. 그리고 정부.

정부는란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로크의 정부론에서 우리는 어떤 물음을 보고 응답해야 하는가.

재산이 많은 부자의 편이며, 기존의 질서와 전통을 중시하는 보수와 새로운 것을 좋아하고 기존의 신념을 바꾸려는 진보의 차이점을 분명하게 하며 이 책은 시작하고 있다.

우리가 보수와 진보를 나누는 기준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는 셈이다.

또한 이 책에서는 그저 막연하게 교과서를 통해서만 알고 있던 자유주의를 이기심을 긍적적으로 해석한 이데올로기라고 정의하며 새로운 정의에 다가선다.

또한 1980년대의 학생운동을 통해 우리나라의 민주화 운동에 대하여 기술하며, 민주화를 통해 우리가 느껴야 할 사실들을 표현하고 있다.

로크의 정치론으로 다시 돌아와서 로크 철학의 기본인 정치 권력의 기원에 대하여 기존의 입장과 비교하며 로크의 사상을 설명한다.

로크가 정치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근거로 들은 세가지를 통해 로크가 어떤 정부를 원하는지, 어떤 정부가 필요한지 이야기 한다.

점유와 소유, 그리고 노동에 대한 로크의 주장이 잘 정리되어 있어 딱딱하기만 했던 로크의 사상들을 쉽게 알 수 있다.

끝으로 철학의 이정표를 통해 철학적인 접근을 위한 책들을 추천한다.

이 책을 통해 딱딱하게만 느껴지던 로크의 사상들을 새롭게 접할 수 있어서 좋은 기회였다.

철학이 딱딱하기만한 것이 아닌 우리 사회의 면을 더 깊이 아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생각하며 읽으니, 더욱 철학의 깊이에 감탄하게 된다.

로크뿐 아니라 철학에 빠지고 싶다면 이 책으로 시작하는 것도 방법인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