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칠월의 청포도 - 이육사 이야기 ㅣ 역사인물도서관 4
강영준 지음 / 북멘토(도서출판) / 2021년 12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224/pimg_7502062133244256.jpg)
시인 이육사. 그가 남긴 발자취와 그의 업적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224/pimg_7502062133244257.jpg)
청포도를 보고 딱 떠오른 사람은 이육사 시인뿐이었다.
학창시절 무조건 외웠던 청포도가 익어가는 계절의 주인공인 이육사. 그때는 몰랐던, 왜 이 시가 중요한지 몰랐던 그래서 그의 업적을 몰랐던 때를 지나 이제 그의 업적이 그의 시가 눈에 들어오니 식민지 시대가 너무 슬펐고 아팠다.
이육사의 본명인 이원록. 그가 일본에 가서 공부할수 밖에 없었던 이유.
그리고 그가 시를 쓰기 시작한 이유. 펜이 칼보다 강하다고 하던가. 천황을 무너뜨리는 방법이 폭탄이 아니라 단 한편의 시임을 느낀 그는 시를 쓰기로 결심한다.
그의 민족정신으로 그는 자신의 고문을 받는것도 기꺼이 받아들였다. 오히려 끝까지 투쟁하며 그들의 고문을 견뎌냈다.
그가 이육사로 살아가는 이유. 죽일 육에 역사 사. 역사를 바꾸려는 그의 의지가 결연하다.
약산 김원봉과의 조선을 위한 방법을 이야기 할때는 둘의 의식 차이로 인한 것이 있었지만 조선을 위한 마음 하나는 누구도 막을 수 없었다.
일본으로 , 중국으로 다니면서 조선을 위한 마음은 커저갔지만 그 만큼 일제의 압박도 강했기에 그의 심신은 지쳐갔다.
그러나 글을 쓰는 동안안 죄의식에서 벗어날 수 있어서 그는 자신의 몸을 돌보지 않은채 글쓰기에 몰두 하기도 했다.
민족을 지키기 위해 조국의 위해 목숨을 내던지 혁명가들을 떠올리며 그는 자신이 민족어를 지키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하며 그가 할 수 있는 일들을 해나가기 시작했다.
억압받지 않고 자유를 누리는것, 그것을 생각하며 포도송이들이 익어가는 모습에서 동지들의 모습이 겹겹이 쌓인다.
그의 <청포도>시는 그렇게 세상에 나왔다.
동지들과 함꼐 먹으면 좋을 탐스런 포도송이들. 당장 익지 않아 먹을 수 없어도 그저 함께 할 수 만 있다면 더 없이 행복했을 시간들을 떠올리며 그는 그렇게 시를 지어나갔다.
고진 고문으로 이미 몸이 망가졌지만 우리말 사전을 준비하기 위한 중국행을 또 결정하며 그는 무슨 생각이 들었을까.
고문을 받아 몸은 만신창이가 되었지만 정신은 더 없이 맑아지고 그 속에서 보이는 할아버지의 모습에서 그는 저 푸른 <광야>를 떠올렸다.
모진 고문속에서 순국한 이육사의 파란만장한 삶은 끝났지만 그의 시는 오래도록 우리들 곁에 남아있다.
책을 통해 이육사의 모습을 보았다면 그의 시가 남다르게 다가올것이다. 추운 겨울 그의 강단한 모습을 생각하며 책을 읽는다면 추운 겨울이 마냥 춥지만은 않을 것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1224/pimg_7502062133244258.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