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택트 교육의 미래 - 왜 기술만으로 교실을 변화시킬 수 없을까
저스틴 라이크 지음, 안기순 옮김, 구본권 감수 / 문예출판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택트 시대의 교육문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그 해답을 알려줄 열쇠.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이 전면 중단된지 벌써 2년여가 흘렀다.

가장 그리운 일상생활은 아이들의 등교가 아니었을까 싶다.

전염병이 퍼지는 순간 아이들의 등교는 물건너가고 사상초유의 비대면 학습이 교육을 이끌었다.

처음으로 시행되는 비대면 교육으로 아이들은 물론, 교사들과 학부모까지 모두 고난의 연속이었다.

이제 서서히 자리가 잡혀가는 비대면 교육의 미래는 앞으로 어떻게 될것인가.

이 책은 이전부터 존재했던 비대면 교육 MOOC로 전체적인 이야기를 끌어간다.

2012년의 최초의 MOOC 화면을 접했을 당시부터 시작해서 지금까지의 MOOC 교육을 토대로 비대면 학습의 미래를 접쳐본다.

꼭 비대면 교육이 아니더라도 꾸준히 연구되어온 대규모 학습은 미국에서 진행되는 연구소들의 연구, K-12 학년 학교에서 이루어진 반응형 개인지도 관리 연구의 결과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한다.

스크래치 커뮤니티의 사용으로 더 나은 교육방법을 제시하여 학습자에게 나은 기회를 준다면 이보다 좋은 것은 없는것 같다.

이 책에서는 비대면 교육의 방식은 세갈래로 설명했는데, 그중 동료주도 학습게임을 소개하며 게임의 장점을 내세우기도 한다.

스크래치팀이 사용하는 접근 방식을 소개하면서 과연 왜 스크래치가 교육에서 사용되어야 하는지 그 당위성을 주장한다.

MOOC의 무료 교육의 단점을 파헤치기도 하는데, 강좌는 무료로 제공되지만 교과서 비용등 기타 부대 비용의 발생으로 학생들에게 부담으로 작용되는 현상을 짚어주기도 한다.

온라인 학습의 장점은 뭐니뭐니해도 사용자의 활동을 기록하는 것을 꼽을 수 있다.

오프라인처럼 본인에게 맡겨두지 않아도 컴퓨터상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통해 컴퓨터로 모든것을 판독가능하니 관리가 더 쉬운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대규모 학습 기술을 마주했을때의 교육기술을 파악하는 네가지 질문으로 이 책을 끝맺는다.

우리나라에도 k-MOOC 사이트가 있으니 직접 MOOC를 이용하여 학습을 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언택트 교육은 이제 일상에 자리 잡았다. 이 언택트 교육을 더욱 발전시키는 방법을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