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의 시간, 영원한 현재 - 김봉렬의 건축 인문학
김봉렬 지음 / 플레져미디어 / 2021년 9월
평점 :
절판


건축과 역사의 결합. 어떻게 건축학에서 역사를 볼 수 있을까. 그 명확한 해답.

건축물은 으레 그 건축물의 용도로만 생각하고 지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런 건축물들에서 우리는 얼마나 역사를 직시하고 있을까.

해외의 유서깊은 건축물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건축물중에도 그 시대를 대표하는 건축물들이 많은데, 이런 건축물에서 역사를 이야기하고 있는 책은 처음인것 같다.
건축을 통해 역사를 비틀어 볼 수 있는 시각을 전해주는 이 책은 고조선부터 현재의 대한민국까지의 건축물 중에서 각 시대를 대표하며 그 시대의 역사를 볼 수 있는 눈을 길러준다.

고구려 시대의 장군총에서 정교한 축조 기술을 이야기 하는 부분은 놀라움을 안겨준다.

240t 정도의 횡압을 1500년 버텨온 그 기술은 현재에도 감히 따라하기 어려운 과학적 지식을 알려준다.

고려시대의 왕립호텔로 지어진 혜음사는 그 용도뿐 아니라 남경 개척이라는 역사적 사실도 같이 언급하여 이 책의 기획 의도를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건축물에서 역사를 보게 되는 것이 얼마나 경이로운 일인지 그 상상력은 감히 놀라울 따름이다.

조선시대의 국토부장관인 박자청의 이야기는 그동안 장영실로만 알고 있던 조선시대의 과학 기술을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게 해 준다.

각 건축물을 소개한 후 실제로 보여주는 사진은 더욱 시각을 자극하여 독자의 상상력을 키우는 일에 일조한다.

춘향전은 소설이지만 그 소설속에서 만나는 현대의 견축물은 허구와 사실, 지상과 천상의 그 어던가를 가리키고 있음은 소설속의 인물들을 소환하여 그들의 이야기를 직접 듣는 기분이다.

주자의 무이구곡을 그린 무이구곡도는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깨달음을 우리는 어떻게 지켜내고 있는지 깨닫게 해준다.

로마의 공공건물을 한국에서 담아낸 강화성당은 티비에서 보여주는 것이 다가 아님을 알려준다.

나병환자들의 쉼터였으나 처절한 역사를 담고 있는 애양원의 이야기는 그 환자들을 보듬었던 김인권 원장의 따스함을 느낀다.

전쟁은 건축을 파괴하지만, 역사는 계속됨을 군사용 시설은 이야기 한다. 그 속의 무수한 죽음을, 그리고 그들이 흘린 피의 의미를 되새겨 봐야 하는 대목이다.

과거는 영원한 현재임을 안다면 역사적 건축은 늘 현대 건축이라는 저자의 이야기는 그래서 마음을 짓눌리기도 한다.

과거의 건축물에서 보는 현재는 어떤 의미일지 각자의 마음속에 그려보는 시간을 만들어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