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집의 미학 : 오르고 거닐며 느리게 보는 - 2021년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 2021년 18회 불교출판문화상 보덕전법상
김봉규 글.사진 / 담앤북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의 수 많은 절들을 가보면서 우리는 무엇을 느낄 수 있는가.

알아야만 더 잘 보이듯이 이 책을 보며 다시금 절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무풍한송로의 보행자 전용 도로의 근사함을 시작으로 그동안 잘 알지 못했던 절집, 그리고 절 주위의 풍경을 사진과 함께 묘사하여 더욱 친근하고 오롯이 그 풍경을 느낄 수 있었다.

백일홍이라도 알고 있는 배롱나무의 그 붉은 꽃잎에 있는 사연을 다시금 되새기며 최고의 배롱나무를 찾는 여정을 더욱 주의 깊게 들여다 보게 된다.

벽화에 그려진 민화풍의 소재를 소개하며 그 속에 담긴 해학적 내용을 감상 할 수 있어 그냥 지나치며 봤던 그림들의 새로운 면면을 다시금 돌아볼 수 있었다.

보고 그냥 지나치기 쉬운 꽃살문을 소개해주어 여러가지 문양의 꽃살문과 함께 꽃살문의 기원과 제각기법등 쉽게 알 수 없는 내용을 알 수 있어 더욱 유익했다.

중간중간 실려있는 산사기행은 산사의 중요한 부분이나 한번쯤 되돌아 볼 수 있으면 좋은 곳을 소개하며 산사의 풍경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그중 경주 장항리 사지에 있는 사자 상은 그 사자의 모습만으로도 웃음을 짓게 하여 푸근하고 따스한 느낌을 느끼게 해 준다.

마지막 6장에서는 한국산사의 미학을 소개하며 중국과 일본의 산사도 같이 소개하는데, 한국의 산사가 너무 멋있어서 다른나라의 산사가 눈에 띄지 않는다.

사리를 보신 부조함등 어디서도 듣지 못했던 것들을 사진과 함께 보고 있으니 한층 절이 더 가까이 있는 느낌이다.

느리게 봐야 더욱 값진 것을 볼 수 있는 산사의 미학. 절집이라고 표현할만큼 집의 따스함을 느낄 수 있는 산사의 모습에 경외로움 마저 느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