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1세기 군주론 - 국민주권시대의 제왕학
양선희 지음 / 독서일가 / 2020년 8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1030/pimg_7502062132716709.jpg)
사회에서 꼭 필요한 리더. 리더의자질은 무엇일까.
그 나라의 리더에게서는 또 어떤 덕목이 필요할까.
국민주권시대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군주는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1030/pimg_7502062132716710.jpg)
저자는 위의 물음에 대한 답을 고대 시대의 군주론, 한비자등에서 찾고 있다.
고대시대에서 필요했던 군주론이 현대사회에 적용이 되려면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했으나, 책을 읽다보니 다름이 아닌 우리가 배워야 할것이기에 이 시대에도 필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황로학에서 실명하는 군주는 어떤 모습일까. 그 시대의 황제는 어땠기에 아주 이상적인 군주로 묘사 되었을까.
고대 제왕학에서 군주가 해야 할 시작과 끝은 바로 무위였다고 한다. 무위란 아무것도 하지 않음이지만 어찌 군주에게 무위가 필수한 요소란 말인가.
하지만 현대에서는 시작부터 끝까지 대통령이 모든걸 책임져야 한다는 책임론이 대세이니 어쩌다 이렇게 변했을까.
리더의 경박함은 일반적인 구성원의 그것보다 대가가 크다. 한비자의 십과에서 설명하는 잘못 열가지를 보면 현대의 대통령이, 리더가 어떤것을 피해야 하는지 잘 나와 있다.
칠주칠신에 나타난 군주의모습에서 점점 군주의 참된 모습을 찾알 볼 수 있다.
왕을 아궁이에 비유한 광대의 이야기는 나라를 운영하는 군주의 참됨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한비자의 군주 통치학에서 떠받아 지는 법, 술, 세. 이 세가지는 군주의 모습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도덕경에서 다시 한번 강조되는 무위. 하지만 정치인들의 처세술은 어찌 보면 무위와는 동떨어져 있는 듯 하다.
그래서 도덕경에서 소개되는 이야기들은 우리 사회의 모습을 살펴보게 한다.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속은 모른다 했던가.
이런 사람들의 정신을 탐구해 볼 수 있는 50가지 이야기는 군주뿐 아니라 우리 모습까지도 같이 되돌아 보게 만든다.
책을 한번 읽어서는 깊은 깨달음을 얻을 수 없을 것 같다.
한번 보고 끝나는 책이 아닌 두고두고 읽을 수 있는 책임은 분명하다.
우리 사회를 더 기름지고 살찌게 할 수 있는 대통령은 우리에게 어떤 모습으로 있으며 우리는 어떤 모습을 봐야하는지 궁금하다면 이 책을 꼭 읽어봐야 할 것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1030/pimg_75020621327167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