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얼굴의 무궁화 - 국가상징 바로잡기
강효백 지음, 김원웅 감수 / 이담북스 / 2020년 6월
평점 :
절판


언제 부턴가 애국가를 무궁화를 바꿔야 한다는 말이 나오기 시작했다.

역사 교과서를 낸다는 그 사람때 부터였는지, 아니면 그 전 4대강을 주장했던 그 사람때 부터인지는 모르지만, 친일파 청산을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일본의 잔재를 지워야 한다는 말이 있었다.

애국가를 작사한 사람은 친일파여서 그 노래를 전 국민이 부르는건 말이 안되다는 것과 무궁화라는 국화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꽃이 아니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었다.

말로만 듣던 주장들을 이렇게 책으로 접하고 나니 그런 주장이 왜 나왔는지 감이 오기 시작했다.

이 책의 저자 강효백 교수는 그동안 꾸준히 무궁화의 문제점을 지적해 왔다.

먼저 애국가의 후렴에 나오는 무궁화 3천리에 대한 의문에서도 보인다.

강효백 교수는 먼저 고전에서 무궁화의 흔적을 찾았다. 하지만 어느곳에서도 무궁화는 보이지 않았다.

그리구 구한말 이전 무궁화를 그림 한장의 그림에서만 존재했던 무궁화. 이런 무궁화는 꽃나무로 변장한 일본의국기이자 군기라며 저자는 울분을 토하고 있다.

이젠 우리나라가 아닌 일본에서 무궁화를 찾아봤다. 히데요시와 센리큐등 우리나라의 숙적인 일본놈들이 끔직히도 아꼈던 무궁화. 무궁화는 일본 도처에서 제국주의의 한 단편으로 자라고 있었다.

윤치호가 왜 이리 무궁화를 좋아했는지 책으로 읽어보니 기가차고 울분을 참을 수 없다.

무궁화는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지 점점 의문이 들어가기 시작했다.

윤치호의 자필 영문 일기는 더욱 상상 할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무궁화는 지폐속에서 더욱 생생했다.

이렇듯 윤치호는 종일매국노로 생활을 하며 애국가에 무궁화 찬양 글을 썼다. 이런 매국노와 사돈간이지만 민족주의자인 남궁억 선생의 대비되는 모습은 더욱 무궁화의 잘못된 점을 부각 시키고 있었다.

아베 총리의 현재 일본에서도 무궁화는 더욱 일본에서 대우를 받고 있었다. 일본 최대 식물원의 무궁화 화원은 더욱 슬픈 현실이다.

왜색 자연과학이라는 무궁화를 뒷받침 하기 위하여 저자인 강교수는 자생종이 하나 없는 한국무궁화의 현실을 꼬집었다.

애국가 = 왜국가라는 부분에서는 왜 애국가가 이리 잘 알려지지 않은 말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 수 있었다. 이런 뜻을 우리는 여태까지 우리나라의 국가로 부르고 있었다니..

책으로 읽지 않으면 절대 몰랐을 무궁화의 진실은 널리널리 알려졌으면 좋겠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국가와 국화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노래로 다시 한번 불려지기를 희망한다.

강교수는 마지막으로 무궁화를 대체할 수 있는 우리나라만의 꽃을 소개한다. 우리나라 천지 어디에서도 볼 수 있는 꽃들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그 날이 하루 빨리 올 수 있기를 희망한다.

또한 이 책을 감수한 김원웅 광복회장은 이번해의 광복절 경축식에서 보고 다시 한번 일본의 만행을 떠올릴 수 있었다.

강효백 교수, 김원웅 회장등 우리나라를 살리려는 노력을 하는 분들이 아직 계셔서 아직 살만한 나라라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하루빨리 왜국노당이 없어지고, 친일파 청산 작업이 빨리 이루어져서 더이상 친일파 놈들의 얼굴을 보지 않을 날만을 기다리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