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시인의 월든 - 부족하고 아름답게 살아가는 태도에 대하여
박혜윤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2년 9월
평점 :
<부족하고 아름답게 살아가는 태도에 대하여>
소로의 <월든>을 바탕으로, 미국 어느 시골마을에서 가족과 함께 '벌지도 쓰지도 않는' 다소 실험적인 삶을 살고 계시는 작가님의 가치관과 생활이야기를 담고있다.
작가님의 예상할 수 없는 이야기들은 처음엔 이 무슨 궤변인가, 했는데 읽다보면 내가 정말 상상력이 부족한 인생을 살고있구나, 란 깨달음을 준다.
나는 집안일은 그저 해도 티는 안나는데 방심하는 순간 티가 여실히 나서 짜증나지만 굉장히 중대한 일이라고 생각하며 살았는데, 작가님은 그저 하찮고 소중하지도 않는 일인데다 아이들의 삶의 기본자세를 배우게 하는 데에 탁월한 일이라며 그때그때 놀이로 생각하고 꾸준히 해나가야 한다고 말한다.
이외에도 아, 내가 너무 편협하게 생각하고 바라봤구나,란 일들이 많다.
작가님의 인생이야기를 읽고있으면 난 그렇게는 못할 것 같아서 더 대단해보이면서도, 어느 하나 정답인 인생은 없으므로 지금 내 삶을 만족하며 조금씩 조금씩 원하는 나로 만들어 살아야겠다.
_
📚.......
5p 알고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만의 소소한 이유로 그다지 합리적이지도, 경제적이지도 않은 선택을 하면서 그럭저럭 살아가고 있다. 삶의 실제 이야기는 적자생존처럼 단순하지 않다.
17p 아무리 훌륭한 책이라도 책은 책일 뿐이다. 중요한 것은 책이건 삶의 경험이건, 거기에서 빠져나와 나 자신의 눈으로 보는 습관이다.
47р 일단 믿음을 가지고 산다. 살다 보면 믿음에 반대되는 사실을 발견하거나 그런 경험을 하게 된다. 그러면 기존의 믿음에서 물러나 이런 경험에 비춰 다시 나의 일상과 선호를 평가해 보는 것이다. 평가를 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다시 원래의 믿음으로 돌아가더라도 절대로 똑같진 않을 테니까.
56p 내가 그토록 강력하게 믿고 있는 주장들은 도대체 내가 어떤 사람인지 이해하는 데 필요한 시작이다.
85p 회사에 다녀도 백수로 살아도, 도시에 살아도 시골에 살아도 어려움은 있다. 천국에 가도 문제를 발견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때, 그 문제 자체에 반대하기보다는 바로 그곳에서 나만의 길을 만들어내는 것, 바로 그것이 울프가 말한 '비터니스'를 버리는 게 아닐까. (bitterness - 정제되지 않은 부정적 감정)
98p 소로는 자신의 부족함을 알면서도 그가 순간순간 몰입하고 믿는 것들에 대해 눈치를 보지 않고 거침없이 목소리를 냈다. 그 결과 사회적 성공이나 부유함을 일굴 기회도 계속해서 놓쳤지만 소로는 그래도 상관없었다. 결국엔 '나의 삶' 이니까.
100p "A의 반대가 not A예요? A의 반대는 B도 되고 C도 되고 Z까지 되는 거 아니에요? 아니면 A' 일수도 있는 거잖아요.
109p (세이모어 번스탄과 에단호크) 두 사람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인생에서 슬럼프란 있을 수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활기차게 생산적으로 살아가는 것만이 삶이 아니니까. 무대공포증도 명성도,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실패나 절망도, 어차피 한 번인 삶의 일부다.
117p 타인과의 괴로운 관계에 대처하기 위해 내가 할수 있는 일은 '나로부터 멀어지는 것'이다. ~ 실제로는 무척 힘든 일이겠지만, 그런 가능성을 그러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차분해진다.
194p 내가 원하는 것은 이렇게 무엇도 장담할 수 없는 세상에서, 아이가 삶이 무엇을 가져오든 담담하게 그 순간에 충실할 수 있는 태도를 연습하는 일이다. 말로만 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서 오늘도 같이 대강 집안일을 한다. 대강이지만 꽤 즐겁고 진지하게 한다.
199p 내 인생의 목적이 지금 이곳에 없는 무언가를 얻거나 도달하는 것이 아닌, 매 순간 달성할 수 있는 것이 되기를 바란다.
207p 아무리 각자 다른 환경에서 다른 성격을 가지고, 다른 모습으로 살아간다. 하더라도, 우리는 비슷한 질문으로 연결되어 있다. 누구의 삶이든 다 특이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