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정섭의 글쓰기 훈련소 - 내 문장이 그렇게 유치한가요?
임정섭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양한 글쓰기에 대한 방법이 적힌 [글쓰기 훈련소] 평소 글 쓰는 것에 두려움과 욕심이 있던 나에게 딱 알맞은 책. 이론만 운운하는 책이 아니라 간결하고 좋은 글쓰기에 대한 예시를 바로 보여주기 때문에 필자가 이야기하는 바를 빠르게 이해할 수 있었다.

간결 - 문장 하나에 생각 하나
'달걀을 한 바구니에 넣지 말라'는 말을 들어 봤을 겁니다. 재테크를 할 때 위험을 분산 시켜야 한다는 금언입니다. 한 바구니에 담을 경우, 바구니가 깨지면 여러 개의 달걀을 한꺼번에 잃습니다. 글쓰기도 한 문장에 여러 개의 사실을 넣으면 위험합니다. 문장이 꼬일 수 있습니다.

단정 - 옷매무새 고치듯 단락을 다듬자
"글은 단락으로 쓴다." 무엇이든 양이 많아지면 묶거나 무리를 짓습니다. 그래야 쓰기 편리하고 유용합니다. 글쓰기는 토지 개간과 같습니다. 땅은 반드시 일정하게 구획 정리를 하지요. 상이한 아이디어를 담고 있는 무리는 따로 떼야 합니다. 문단 나누기입니다. 그래야 읽기 용이합니다.

명쾌 - 군더더기 잡초를 뽑아라
농사를 지을 때 잡초를 뽑아야 하듯, 글에서도 잡초는 제거 대상 1호입니다. 이 잡초를 불필요한 말, 즉 사족이라고 합니다. 이 말은 화사첨족에서 나왔습니다. '뱀을 그리는데 발을 덧붙인다'는 뜻이지요. 불필요한 군더더기를 말합니다.

공평 - 단어의 겹치기 출연을 피하라
한 문장 안에서, 혹은 전체 글에서 같은 단어나 표현을 여러 번 쓰지 않는 것. '중복 금지 원칙'입니다. 표현이 겹치지 않아야 세련된 글이 됩니다. 피할 수 있으면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의도적인 게 아니라면 말입니다.

글쓰기에 필요한 9가지 글쓰기 태도 중 내 글에 필요한 4가지를 골라봤다. 내가 적은 글을 읽다 보면 깔끔하다는 인상보다는 중복적인 의미가 많고 어수선한 느낌이 있는데 위의 4가지 사항을 기억하고 글에 적용한다면 더욱 깔끔한 글이 될 거 같다.

[글쓰기 훈련소]에서는 글쓰기 태도와 더불어 좋은 글을 쓰기 위한 방법으로 필사, 어휘 공부, '일일일상一日一想'을 추천한다.

。필사
글을 잘 쓰는 사람들에겐 공통된 경험이 하나 있습니다. 한번쯤 베껴쓰기를 연습했다는 점입니다. 좋은 글을 읽고 익히는 일은 학문의 기본입니다. ... 베껴 쓰기는 어떤 이점이 있을까요? 적어도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문자의 구조를 익힐 수 있다는 점, 두 번째는 문장을 닮을 수 있다는 점, 세 번째는 뜻을 음미하면서 생각의 힘을 기를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다 베껴 쓴 글과 비슷한 형태의 글을 구사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본인이 어떤 글을 추구하는가를 먼저 따져 본 뒤, 베께 쓸 글을 택해야 합니다.

어휘공부
글을 쓸 때 마땅한 어휘가 떠오르지 않아서 고민한 적이 있을 겁니다. 모든 글쟁이가 그런 경험을 합니다. 흔히 '글을 많이 쓰다 보면 적절한 어휘가 때맞춰 떠오르겠지' 여깁니다. 그러나 어휘도 공부해야 합니다. 익히면서 정복하는 것입니다.

일일일상一日一想
제가 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아이디어에 대한 글을 매일 쓰라는 겁니다. '일일상一日一想'입니다. 기본적인 글쓰기 훈련으로, 아이디어에 예민해질 수 있는 방편입니다. 직접 쓰는 과정에서 아이디어가 기억창고에 더 잘 보관됩니다.

문법을 배우지만 글쓰기 방법에 대해 배워본 적이 없는 우리들. 글쓰기에 두려움을 갖고 있다면 차근차근 임정섭의 글쓰기 훈련소를 통해 문서작성에 대한 원리를 배우고 글 쓰는 즐거움을 얻을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