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와 소셜 스낵 - 소셜미디어, 연결되지 않으면 불안한 중독자들
최영 지음 / 이담북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되면서 내 인생의 많은 것들이 점점 바뀌어갔다.


언제 어디서든 궁금한 것을 바로 알아보고 처음 가는 곳도 어렵지 않게 찾아가며 나의 일상을 타인에게 공유하는 일들까지. 스마트폰은 점점 더 손에서 떨어질 날 없이 급격하게 내 일상에서 빠질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나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이 스마트폰에 빠져들게 되었을 거라 장담하는데 그렇게 헤어 나올 수 없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역시 SNS 때문이 아닐까.


하루에 수십 번은 SNS로 타인의 일상을 보고 내 일상에 대한 타인이 호감을 확인하는 게 매일매일 이어지면서 이런 것이 바로 '중독'이라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만 봐야지 하면서도 나도 모르게 SNS로 향하는 손가락.
만약 이런 생활을 반복하다가 갑자기 스마트폰이 없어진다면 무척이나 불안한 마음이 들지 않을까 싶다.



「카지노와 소셜 스낵」은 냉철하고 비판적 접근으로 소셜미디어에 대한 내용을 담은 책이다.


카지노와 소셜. 이 둘의 공통점은 '중독'. 카지노 하면 나쁘다는 인식이 강한 반면 소셜미디어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의견이 분분하다. 하지만 카지노와 소셜미디어 둘 다 좋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고 있을 듯하다.


책을 읽지 않아도 소셜미디어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우리가 「카지노와 소셜 스낵」을 읽어야만 하는 이유.


왜 우리들이 소셜미디어에 빠질 수밖에 없는 것인지. 말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분명 중독으로 이어지는 무언가가 소셜미디어에 존재하고 그것을 제대로 알아야 더 이상 빠져들지 않고 현명하게 소셜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을 테니 말이다.



「카지노와 소셜 스낵」은 Intro - 3장의 이야기 - Outro의 순으로 내용이 전개된다.
1장 - 기술과 디자인 (주목경제 / 행동 디자인)
2장 - 중독 사회 (기술 중독 / 인터넷 중독 / 중독의 늪)
3장 - 중독 사회 처방전 (처방을 위한 준비 / 마음챙김 가이드라인)

 


책을 읽다 보면 가장 많이 보이는 용어가 있는데 그건 바로 테크노폴리.
낯선 용어지만 의미를 들여다보면 바로 이해가 되었던 거 같다.


[테크노폴리]

기술이 인간을 지배한다는 개념의 사회학 용어.
기술이 사고와 행위·문화 등의 인간 생활 전반을 통제하여 인간이 기술에 종속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용어를 가리킨다 (출처 - 두산백과)


중독과 테크노폴리 즉, 기술은 어떠한 연관성이 있을까?
어떠한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지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우리가 보는 유튜브의 알고리즘을 생각해 보면 그 역시 기술에 의해 우리의 기호에 맞는 영상을 추천해 주는데 그런 비슷한 게 아닐까 추측해 본다.


처음 책을 읽었을 때 평소 사용하지 않는 용어도 많이 나오고 기술적인 내용을 다루어서 쉽사리 내용이 읽히지 않았는데 중간중간 소셜미디어에 대한 찰떡같은 표현이 나올 때마다 얼마나 큰 충격과 깨달음을 얻었는지 모르겠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만 얘기를 했다면 자칫 지루할 수 있었을 책.
다른 책에 비해서 읽는 속도가 많이 느렸던 책이지만 읽고 난 후 굉장히 마음에 여운이 길게 남았다.


소셜미디어 중독과 중독 해결을 위한 다양한 관점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이므로 관심 여부를 떠나 한 번쯤은 읽어봐야 하는 책이 아닐까-
단, 해당 분야에 익숙하지 않다면 읽는 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 듯하니 참고하면 좋겠다.



[기억에 남는 글]


우리는 고객으로서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소셜미디어를 통해 우리가 '주목'을 생산하는 상품으로 이용되는 것이다. 기술 전문가들이 만든 정교한 알고리즘에 따라 우리는 접속하고, 주목하고, 중독된다. p34


빅테이터의 핵심은 데이터가 크고 많은 것이 아니라,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조작과 통제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다양한 자극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을 끊임없이 체크하고, 이에 맞추어 끊임없는 알고리즘의 변경을 통해 이용자의 태도와 행위를 기술 기업이 의도한 방향으로 이끌어 간다. 이용자는 스스로가 자유의지에 의해 상품을 소비하고,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생각하지만, 그러한 이용자의 자유의지는 돼지가 물을 먹을지 사료를 먹을지를 결정하는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p73


중독은 비일상적인 상황이 개인에게 흘러 들어오는 것이다. 마치 축제를 찾아서 환각에 젖고, 마약에 취하듯 중독은 우리 곁으로 슬며시 다가온다.
자극을 찾는 것은 인간의 본능으로, 인류는 다양한 기제를 통해 자극을 추구해 왔다. 술이나 마약 혹은 운명을 점치는 도박은 자극을 찾아 헤매는 인간의 본능이다. 현대에 와서는 소셜미디어가 이러한 자극을 대신한다. 자극이 계속되면 중독이 따라온다. 소셜미디어는 인간 캣닢이다. p89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