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물학자의 정원 산책 - 사람, 식물, 지구! 모두를 위한 정원의 과학
레나토 브루니 지음, 장혜경 옮김 / 초사흘달 / 2020년 7월
평점 :
절판

요즘에는 반려동물 대신 반려 식물을 기르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듯하다.
무언가를 돌보는 행위를 통해 자신의 마음에 안정을 찾는 이유도 포함이겠지만 어쩌면 이 삭막한 도시에서 유일하게 식물만이 눈과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식물을 좋아하지만 사실 나는 식물과 친하지 않은 편이다.
때로는 지나친 관심으로 혹은 무관심으로 자신의 수명보다도 더 빠르게 사그라지는 식물들을 보아온 횟수가 점점 쌓여가면서 내가 직접 키우는 방법 대신 야외에 있는 식물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생각에 도달하게 되었다.
계절에 따라 피고 지는 꽃들과 풀, 나무를 보다 보면 어떻게 이렇게 자기들이 피어나는 시기를 매년 맞추는 것인지 참으로 신기하다는 생각이 들곤 한다.
물론 자연의 순리에 따라 그러하겠지만 정확한 시기를 모르는 나는 대략적으로 특정 계절에는 이 꽃이 피곤했지 하는 아득한 기억만 남아있을 뿐.
그렇다면 식물학자가 바라보는 식물은 어떨까?
분명 그 누구보다도 식물에 대해 더욱 많은 이야기들을 알고 있으리라.
그리고 그 앎의 깊이는 무척이나 방대하고 깊을 거라 예상된다.

「식물학자의 정원 산책」
식물학자 그리고 정원, 산책이라니 뭔가 다정하면서도 흥미로운 이야기가 들어있을 것만 같다.
어린 시절 할아버지의 정원에서 뛰어놀던 한 소년은 자라서 식물학자가 되었다.
식물학을 공부하던 이는 할아버지의 정원을 물려받게 되었고 그는 실험실에서 벗어나 자연과 더 가깝게 교감하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식물학자의 정원 산책」 바로 이 책은 식물학자로서의 과학적 지식과 함께 생생한 식물 이야기를 전달하고 있다.
식물에 대해 잘 모르긴 하지만 책을 읽으며 흥미로운 부분이 참으로 많아 무척이나 재밌게 읽을 수 있었던 책인 거 같다.
한 가지 예를 들어보자면, 꽃마다 개화시기가 다른 점이 나는 항상 신기했는데
식물학자 레나토 브루니는 이를 '개점 시간이 저마다 다른 임시 가게'라는 표현으로 설명했다.
1년 중 특정 시기, 하루 중 특정 시간 등 가게의 상품에 관심을 보일 손님들(꽃의 수분을 도와주는 곤충)이 몰려올 확률이 가장 높을 때 꽃의 개화 운동이 촉발하는 것이라는 설명이 어찌나 머릿속에 탁 그려지던지. 물론 이 설명이 아니어도 이해가 될 수 있지만 이보다 더 정확하고 쉬운 설명이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인간의 지문이 다르듯이 모든 식물 종이 살아남기 위해 분투한 결과 꽃가루의 형태와 크기 그리고 모양이 제각각이라는 설명과 식물 외래종, 그리고 습지(토탄)에 대한 내용도 무척이나 흥미로웠던 부분이었다.
유쾌한 식물 이야기. 「식물학자의 정원 산책」
이 책을 읽고 나니 더욱더 식물에 대해 많은 관심이 생긴다.
단순히 식물 그 자체에 대해서만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식물과 함께 아니 더 나아가 책을 통해 지구에 대해서도 생각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던 거 같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