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획자의 여행법 - 10년 차 기획자가 지켜온 태도와 시선들
조정희 지음 / SISO / 2020년 12월
평점 :
타인의 여행 이야기를 읽게 되면 나와 다른, 그리고 생각지 못한 새로운 스타일의 여행법을 알게 된다. 전부 다 마음에 와닿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방법이 있구나 싶을 때는 슬그머니 그 부분을 소소하게 반영해보기도 하는데 그럴 때는 항상 똑같았던 여행에 새로운 리듬이 생겨 색다른 여행을 하는 기분이 든다.
언젠가 읽었던 '마케터'의 여행법
그때는 한창 마케팅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아서 읽었던 책인데 그의 직업답게(?) 일상 속에서 숨겨진 여러 가지 트렌드를 찾아내는 모습이 나는 무척이나 신기했었다. 그래서 그때부터 '누군가'의 여행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를테면 무엇을 보고 생각하고 느끼는 것인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마케터에 이어 이번에는 《기획자의 여행법》
'기획자'의 여행법이라니. 내가 상상하지 못할 방법이겠구나 하는 호기심이 제일 먼저 생겼는데 책을 읽으면서 정말 기획자는 남다르구나... 하는 생각이 머릿 속에 가득찼다. 업무의 일환으로 떠난 여행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그랬을지 모르지만 그녀의 여행에는 현재 하고 있는 기획에 관련된 정보를 모으는 일이 많았다. 개인적인 여행보다는 일의 연장선상인 듯한 느낌.
(어쩌면 작가는 본인의 직업에 상당히 만족도가 높은 사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기획자의 여행법》을 여행법이라고 하기보다는 기획자로서 여행을 활용하는 방법이라는 제목이 더 어울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기획'과는 관련 없는 업무를 하고 있어서 책을 읽기 전에는 기획이라는 게 딱 와닿지 않았는데 책에 소개된 다양한 기획 이야기를 보고 있으니 조금은 '기획'이 어떤 거구나 하는 실마리를 잡은 기분이 들었다.
어느 한 가지만 생각하는 게 아니라 여러 가지 요소, 정보를 통해 구체화되는 작업이 바로 기획
기획하는 모든 것이 무조건 성공을 장담할 수 없기에 무척 어려운 일이겠지만 추상적이었던 생각이 여러 가지 보완을 통해 점점 구체화되고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게 된다면 그 서비스를 기획했던 기획자는 얼마나 마음이 뿌듯할까 생각해 본다. 이 책을 읽지 않았다면 현재 내가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들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전혀 몰랐을 텐데 정말 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필요하구나 하는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되는 시간이었다.
아직은 모르지만 언젠가 곧 만나게 될 새로운 서비스는 지금 이 순간에도 조금씩 실현되고 있겠구나.. 앞으로의 생활이 조금 기대가 된다.
내용 대부분이 '기획'에 대한 내용이지만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부분도 배워볼 수 있었던 《기획자의 여행법》 꼭 기획자가 아니더라도 새로운 스타일의 여행을 꿈꾸거나 아이디어가 필요한 사람에게 많은 도움이 될 거 같다.
책 속 페이지
p21
창의적인 생각은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하겠다는 마음가짐으로는 절대 떠오르지 않는다. 오히려 관련 분야의 사람과 부담없는 대화를 나눌 때 슬그머니 고개를 내밀기 시작한다. 뭐든 좋으니 단 한 사람의 이야기라도 들어보고 단 하나의 키워드라도 수집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p27
나는 여행을 떠나기 전에 어떻게든 목적을 정리하고 출발한다. 이왕이면 어떤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도 함께 생각해보면서 내게 필요한 여행을 계획한다. 함께 가는 여행이라면 서로의 목적을 사전에 충분히 확인하고 인지한다.
p52
기획은 번뜩이는 아이디어와 창의적인 생각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머릿속 이야기를 현실로 만들어 가려면 꽤 논리적이어야 한다.
번뜩이는 아이디어나 독창적인 생각이 있더라도 설득하는 과정이 필수이기 때문에 단순 아이디어로는 한계가 있다.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사랑하는 누군가를 위할 때 설득하기가 쉽고 모두가 필요로 하는 기획이 된다.
p64 - 65
깊이 있는 정보를 얻고 싶을 땐 책을 활용한다. 책은 특정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깊은 이야기를 해 집중이 분산되지 않는다. 책에서 얻는 건 단순 지식 그 이상이다. 한 사람이 어떤 관점으로 주제를 고민했고 어떻게 체계화하여 연결했는지를 책에서 엿볼 수 있다.
저자의 생각을 따라가면서 책에서 다루는 주제를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다. 책을 통해 저자의 생각을 읽으며 나의 문제를 반추하게 된다.
관심 있는 키워드별로 3권 정도 관점이 다른 책을 읽다 보면 관련 지식이 어느 정도 정리가 된다.
3권은 키워드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설명한 책, 키워드를 특별한 스토리로 담은 책, 키워드에 대한 상상이 섞인 책으로 고른다.
p85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 비어있는 정보가 무엇인지 빠르게 파악하기 위해선 매일 자료를 잘 버리고 동시에 잘 정돈을 해야 한다. ... 자료가 적재적소에 잘 쓰이게 하려면 미리 프레임을 생각하고 그에 맞춰 재분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중심 주제나 키워드를 미리 생각해 놓는다면 잘 버리는 기준이 생기는 셈이다. 그런 다음 일상적으로 중심 주제나 키워드에 따라 버리고, 분류하는 과정을 거친다면 정보를 활요할 때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다.
p90
여행이든 어떤 서비스든 무언가 유의미한 가치를 만들어 내거나 새로운 시사점을 도출할 땐 진짜 알맹이가 들어있는 실감난 정보 수집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선 총체적으로 숨겨진 내면의 모습을 면밀하게 포착을 해야 진짜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p159
서비스를 기획하는 데 있어 없던 것을 새로 만든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새로운 기술, 독특한 서비스를 고민하기보단 근본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파고드는 것이 더 필요하다. 성공한 서비스들을 뜯어보면 독창적이고 기술 진입장벽이 높아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출시가 되었다기보단 덜 독창적이지만 근본적인 문제점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한 것인 경우가 많다.
p174
키워드를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어떤 가치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자신만의 답이 생기면 구체적인 기획안이 나올 수 있다. ... 기술은 사람을 향해야 한다. 기획자도 사람을 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오늘도 키워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면서 이걸 왜 만드는지, 타인에게 어떤 선물을 줄지 나에게 되물어본다.
p187
하나의 기획이 끊임없는 비판 속에서 지치지 않고 보완되고 버텨나가며 일관성 있는 한 걸음을 뗄 때 비로소 마지막 여정인 실현에 다다르게 된다.
일관성 있는 마음으로 기획을 하긴 쉽지 않지만 그런 태도로 기획을 하겠다고 결심하고 기획안을 들여다보면 주어지는 선물이 많다.
먼저 전문성이 쌓이고 콘텐츠의 양도 쌓인다. 내가 기획한 것은 반드시 책임을 지겠다는 생각으로 어떤 비판에도 계속 보완해 나가면 결국 해당 분야에 대해선 지식과 콘텐츠가 쌓이면서 점점 기획의 완성도가 올라가게 된다.
기획안뿐만 아니라 개인의 전문성 역시 함께 얻게 된다. 무엇보다 프로젝트가 성숙해가며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다.
기획자는 사람들의 생각을 리딩하는 사람이다. 일관되고 지속적인 자세로 기획을 조금씩 보완해 나갈 때 사람들 마음은 움직이기 시작한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