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좋은 날보다 싫은 날이 많았습니다 - 완벽하지 않은 날들을 살면서 온전한 내가 되는 법
변지영 지음 / 비에이블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스로 나 자신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있어도 매일매일 자신이 좋은 날이 그리 많지는 않을 거 같다
자존감이 강한 편이 아닌 나 역시 '나'라는 사람을 다른 사람으로 바꿀 수 없는 게 현실이기에 어쩔 수 없지-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되돌아보면 내가 싫다고 생각한 날이 참으로 적지 않았다

 

책을 읽는다고 달라지는 건 없겠지만 그럼에도 비슷한 장르의 에세이를 읽게 되는 건
조금이라도 나아지기 위해, 나를 받아들이기 위해 책을 읽게 되는 거 같다

 

심리 전문가가 쓴 에세이 「내가 좋은 날보다 싫은 날이 많았습니다」
개인차가 있겠지만 전문가가 쓴 책이라 그런지 조금은 딱딱한 느낌이 없지 않나 싶다

 

보통 이 비슷한 스타일의 제목을 가진 책의 경우 당신은 있는 그대로 괜찮다고 말하거나 위로를 하는 글이 주라 토닥토닥의 느낌인데 책 속의 글들은 실제 읽었을 때 조금은 불친절한(?) 느낌이라 순간 벙찌는 마음을 감출 수 없었다


역시 책이란 읽어봐야 알 수 있다며 마치 경로 이탈한 듯한 기분에 쉽게 글을 읽지 못했는데-
어느 순간부터 감정 1도 없이 툭 툭 얘기를 하는 저자의 글에 마치 조용한 호수에 돌멩이를 탁 던져서 표면이 일렁이듯이 내 마음도 조금씩 일렁이기 시작했다. 그 시작은 내가 고민하던 역할에 대한 글을 읽은 후부터였다

 

어떤 역할에 지나치게 매여 있을 때는 이유가 있다. 그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그 역할을 하지 말고 안 했을 때 내 마음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봐야 한다. 이렇게 해야 한다 하는 강박을 갖고 있는 나에게 너무나도 신선한 충격을 주는 글이었다. 불평불만이 있어도 그 일을 또는 그 역할을 안 하겠다는 마음을 갖지 않았는데 왜 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들지 않았던 걸까-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하려면 해보지 않는 역할도 경험해봤어야 하는구나 하는 깨달음이 밀려왔다.

 

또 하나 인상적인 글을 골라보자면 셴파(shenpa)에 대한 글이었는데, 티베트 불교에서 말하는 용어로 '낚이는 것을'을 의미한다고 한다
낚이는 것? 하면 조금 의아하지만 어느 순간 내 마음에 탁 걸리는 순간 이를테면 특정 순간 또는 타인의 말 또는 행동이라고 하면 이해하기 쉽다


이런 느낌을 받은 경우, 아무것도 아니겠지 싶다가도 거스러미처럼 계속 걸려서 영 마음을 찝찝하게 만드는데 이 감정은 풀어내지 않으면 극도의 분노로 바뀌게 되는 거 같다- 우연히 셴파를 만나게 되는 경우 여러 단계를 거쳐 빠져나오는 방법도 제시가 되어 있는데 나는 그 앞에 나온 내용에 좀 더 무게를 두고 싶다. 개인적인 차이가 있겠지만 나의 경우에는 타인의 말, 말투에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인데 그걸 움켜두고 여러 번 곱씹다 보니 그 말을 한 상대방을 만나게 되면 자동적으로 그 순간이 연상되게 된다.


이럴 때는 저자가 말하듯 불편한 감정을 붙들어 내 생각을 더하는 게 아니라 감정은 감정대로 나쁜 것은 흘려보내는 게 스스로의 마음의 평화에 도움이 된다는 점. 물론 생각대로 되지 않는 게 흠이지만 말이다

 

온전한 내가 되는 법. 부제를 읽었을 때는 어떠한 해답을 딱 제시해 주겠구나 싶었는데
읽고 난 후 이 책은 해답을 스스로 찾고 생각하게 도와주는 책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단순한 위로가 아닌 생각하는 시간을 주는 에세이 「내가 좋은 날보다 싫은 날이 많았습니다」
책 속 전문가의 심도 있는 글은 평소 생각지 못한 나 자신을 알아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