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은 내가 결정합니다 - 내 감정의 주인이 되는 자기결정권 연습
정정엽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이 힘든 순간. 그리고 그 마음을 계속 안고 살아가는 게 지쳐갈 때쯤 나를 괴롭히는 이 마음을 제대로 알아가는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워보고 싶다.

하지만 여러 책을 읽어봐도 그 순간만 살짝 마음을 들여다볼 수 있을 뿐, 내 마음을 제대로 바라보고 알아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읽어볼 수 없었다.


그러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쓴 심리학 도서 『내 마음은 내가 결정합니다』을 만났다

 


차이는 있겠지만 책을 읽기 전 책에 대한 기대감을 갖는데 보통은 기대했던 내용보다 못 미치거나 딱 생각했던 그만큼의 기대감을 충족시켜주는 것으로 마무리되는데 흥미롭게도 『내 마음은 내가 결정합니다』 이 책은 정말 기대 이상이었다!

 

 

표가 부분 들어있지만 그림 없이 글로 빽빽하게 채워진 꽤 두꺼운 두께의 책인데도 반복되는 내용이 없고 책의 처음과 끝까지 하나하나의 내용이 내 마음, 내 감정을 꿰뚫어본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놀라움을 주었다는 점에서 그동안 읽었던 책들과는 확연히 다른 『내 마음은 내가 결정합니다』

 

읽으면서도 생각했지만 전문적인 심리 상담을 받는다면 이런 기분이 들 수 있겠구나 싶었다

 

 

항상  곧 끊어질 거 같은 아슬아슬한 줄에 매달려 앞만 보고 걷는 기분이었는데 이제는 발을 디딜 수 있는 땅에서 주변을 조금 둘러보며 걷는 기분.


여러 번 반복해서 생각했던 고민이 완전히 해결된 건 아니지만 이제 조금 방법을 알게 된 거 같다

 

 

'힘들다. 내가 뭘 잘못한 거지. 어디서부터 잘못된 건가'하는 안 좋은 생각의 굴레에서 벗어나 내 감정에 제대로 맞서는 방법


자신의 불편한 감정을 제대로 바라본다는 게 결코 쉬운 일은 아니지만 미래에 찾아 올 마음의 평화를 생각하면 한번 노력해보는 것도 좋을 거 같다

 

 

곁에 두고 오래오래 읽고 싶은 책  『내 마음은 내가 결정합니다』
이제는 누군가의 시선에 눈치보며 정하는 게 아닌 내가 바라는 대로 결정해보자!

 

 

책 속 문장들

머릿속으로는 경제적 잣대를 가지고 사람을 판단하는 행동이 부적절하다고 생각하지만 자신에게도 이런 마음이 숨어 있을 수 있다. ...
나에게 속한 것들이 외부 손끝에 제 모습을 드러냈으며 그 결과로 자신이 동요한 것이지 타인이 나를 쥐고 흔든 것이 아니다. 공항에서 이것저것 물어본 타인의 태도가 아니라 본인의 가치관이 투영된, 내 안의 시선이 내게 상처를 낸 것이다. p54


누구나 자기만의 생각과 감정의 패턴이 있다. ...
평판에 악영향을 끼칠 정도로 시도 때도 없이 화를 표출하는 것이 문제지, 화가 날 만한 상황에서 감정을 부정하는 것은 자신을 억압하는 잘못된 행동이다. 억누른 감정은 결국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터져 나올 수 있다. p75

 

 

"서운하다 정도로만 표현해도 될 일인데. 기분이 상하면 무조건 표출하는 분이 있어요. 이런 사람은 상대가 잘못을 했더라도 공감이나 사과를 받아내는 데 어려움을 겪어요. 상대 입장에서는 잘못에 비해 과하게 비난을 받았다고 생각하거든요." ...
"안 좋은 감정도 단계별로 정리를 해두라는 말이네요." p78

 

 

​내가 느꼈던 바를 이야기해보는 일, 즉 감정을 언어화하려는 자세도 필요하다.
감정을 억누르는 것이 습관이 된 사람들은 자신의 마음을 언어로 표현하는 일에 익숙하지 않다. 자기 마음이 있다는 것 자체도 잘 모른다.
자기 마음이 아니라 타인의 마음대로 움직이는 편이 차라리 익숙하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이 바라는 것에 신경을 곧두세우고, 그것을 충족시키는 데 집중했기 때문에 자신의 마음을 살펴보고 표현하는 일에 서툴다. p81

 

 

신체적으로도 그렇지만 마음의 에너지도 한정되어 있다. 이 한정된 에너지를 일, 관계, 자존감 형성 등 플러스가 되는 일에 사용하면 만족스럽고 행복할 테지만 누구나 조금씩은 마이너스가 되는 일을 감추기 위해서도 이 에너지를 사용한다. ...
우울, 불안, 분노는 원초적으로 느끼는 감정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순응할 대상이다. 우울할 때는 잠깐 멈추어 쉬면서 에너지를 회복하거나 주위의 도움을 기다리면 되고, 불안할 때는 즉시 피할 방법을 모색해야 하며 화가 날 때는 화를 내는 것이 자연스럽다. p97-98

 

 

분노를 느끼면 사람들은 '참기'와 '터트리기' 중 하나를 선택한다. ...
첫 번째 방향은 대상을 가리지 않고 갑자기 폭발하는 것이다. ... 이런 행동은 저지르고 나서가 문제다. 자괴감과 죄책감에 괴로워지기 때문이다. 두 번째 방향은 화라는 감정이 돌고 돌아 자신에게로 향하는 것이다. 이런 화는 자신을 망가트린다. ...
분노를 유발하는 감정을 적절하게 풀어주지 않으면 마음속에 먼지처럼 쌓이게 된다. ...
치밀어 오르는 화를 어떻게 다뤄야 할지 모르겠다면, 화를 폭발시켰을 때 발생할 문제와, 참았을 때 발생한 문제를 비교해보자.  p110 - 111

 

 

현대사회에서는 죄책감 대신 '민폐'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한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는 상대에게 폐를 끼치는 것을 극도로 경계한다. ...
이런 감정은 자신에게만 상처를 입히는 것 같지만, 반대로 민폐를 끼치는 타인을 봤을 때 분노감으로 표출될 수 있다. p113

 

 

감정은 행동을 유발하고, 행동은 감정을 해소시킨다. 반대로 감정이 줄어들면 행동하고자 하는 욕구도 줄어든다. ... 이렇듯 감정에 맞게 적절한 행동을 하는 것은 감정을 제대로 다루는 일에 도움이 된다. p127

 

 

판단이란 '좋다 vs. 나쁘다', '옳다 vs. 그르다'로 나누어 평가하고 명명하는 일로 실망감과 괴로움을 불러일으킨다. ... 좋고 나쁘고, 옳고 그리고를 판단하려 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의 사실만을 바라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p131

 

 

상대의 의도가 어떻든 내 기분과 감정이 혼란스러워졌다면 억지로 사건의 규모를 축소할 필요가 없다. ... 진심으로 '이 정도는 넘어갈 수 있지'라고 생각하는 일은 넘어가야 한다. 다만 몇번을 곱씹게 되고 울컥 올라오는 어떤 감정을 억누르게 만드는 일이라면 대처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p239

 

 

감정이 상하는 상황에 대해 용기 있게 물어볼 수 있는 사람은 나로부터 나오는 자기감을 가진 사람들뿐이다. ... 관계 속에서 자유로워지는 것이야말로 사람들이 가장 바라는 자유다. 그러려면 인정을 바라면서도 모두에게 인정받을 수 없다는 것을 마음 깊은 곳에서 받아들여야 한다. 행동의 동기를 타인의 인정이 아니라 나의 인정으로 옮기는 연습을 하자. p243

 

 

조언이나 충고도 마찬가지다. 옳은 말이고 필요한 정보라 해도 상대가 수용할 타이밍이 아닌 때에 던지는 것은 개구리에게 돌멩이를 던지는 것과 같다. ... 이성적인 것이 언제나 옳은 것은 아니다. 조언은 하는 사람이 아니라 받는 사람에 의해 필요와 의의가 정의됨을 기억해야 한다. p251

 

 

관계에서 마음 상하는 일이 발생했다면 유연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마주할 만하면 부딪치고, 당장은 힘들다고 생각되면 잠시 멀어졌다가 마주할 수 있을 때 다시 들여다보는 것이다. p2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