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밤은 이야기하기 좋은 시간이니까요 - 이도우 산문집
이도우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3월
평점 :

『밤은 이야기하기 좋은 시간이니까요』 감성적인 책 제목에 마음이 끌린 이유도 있지만
드라마 원작으로 알려진 소설 『날씨가 좋으면 찾아가겠어요』 작가 '이도우' 산문집이라는 얘기를 듣고 비록 소설도 드라마도 보지 않았지만 한번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읽는 이들 사이에는 이도우 작가가 분명 유명한 작가겠지만 나에게는 작가에 대한 아무런 배경지식이 없기에 어떤 느낌으로 다가올지 굉장히 궁금했는데 담담한 문체와 예상치 못한 글의 흐름으로 어쩌면 그녀는 담백하면서도 세심한 사람이 아닐까 하는 생각
산문집 『밤은 이야기하기 좋은 시간이니까요』는 어떠한 목적으로 쓴 글이 아니라 책 제목처럼 감성 충만한 밤에 작가가 하나씩 적어내린 개인적인 기록을 모아 출간된 책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책 내용들 하나하나가 어떠한 목적을 가진 마치 퍼즐처럼 맞춰지는 글이 아니라 각자의 이야기를 가진 마치 자유로운 영혼처럼 느껴졌다.
그녀가 말한 것처럼 선뜻 책으로 묶어도 될까 망설여졌다는 몇 년 간의 기록들.
그날그날의 풍경, 사람, 마음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나뭇잎 소설'이라는 짧은 아홉 편의 소설이 담겨있어 그녀의 소설로 기다리던 그녀의 팬들에게 특별한 선물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촛불 냄새가 나는 밤에 쓴 글.
포문을 여는 그녀의 글에서 한때 내가 느꼈던 감정의 한 조각을 발견하고 순간 마음이 두근거렸다
다만 내 마음을 멈칫하게 만든 건, 밤에 쓴 글에서는 촛불 냄새가 난다는 말이었다.
어둠과 불빛은 예상보다 더 감정을 건드려서 햇살 환한 낮에 다시 읽으면 부끄러워 외면하고 싶어지니까. 지난밤의 글을 번번이 지우다가, 문득 어느 날 그게 무슨 상관일까 싶었다. 밤에 쓴 글은 다음 날 밤에 읽으면 되는 것을.
지난밤에 쓴 글을 낮에 읽었을 때 부끄러워 외면하고 싶어진다는 말.
나 역시 밤이 되면 순간 작가가 된 것인 양, feel을 받아 주르륵 글을 쓰곤 했는데 그 담날 아니 며칠 후 글을 읽었을 때 어찌나 민망하던지.. 결국 살며시 적었던 메모를 닫았던 기억이 있기에 이 글이 가장 마음에 깊이 와닿았던 구절이다

p186
같은 밀도의 이야기를 할 때도 가능한 한 소박하고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기를.
과장하지 않고 진솔할 수 있기를. 그저 첫 마음을 잃지 않기를.
p319
서로가 가까워지는 과정은 그렇게 공간을 존중하면서 천천히 한 바퀴 돌아 출입문을 찾는 노력이 아닐까
p321
저마다 다가가는 걸음의 속도와 보폭이 다르다.
둘이 마주보고 열 발자국씩 가까워지자 약속해도, 막상 열 걸음 걸은 뒤 재보면 서로 똑같은 거리만큼 다가오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도 더 넓은 보폭으로 다가간 이가 좁은 걸음으로 다가온 이에게 서운해하거나 우정을 의심할 필요는 없다. 저마다 할 수 있는 보폭과 속도로 열 결음을 걸었으면 된 게 아닐까. 그건 그 인물이 가진 재질이기에
사실 고백하자면 책 속에 모든 이야기에 공감하지 못했다.
다만 이 한 권의 책으로 그녀의 글은 나와 안 맞는다고 하기엔 뭔가 짙은 여운이 남아 이번 책은 가볍게 인사를 했다고 생각하기로 했다
때로는 내 스타일이 아냐 했던 작가의 다른 책을 읽고 반한 경험도 더러 있으니까..
그래서 다음엔 꼭 그녀의 소설을 읽어 볼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