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더십 스케일업 - 나와 조직의 역량을 극적으로 확장하는 법
로버트 J. 앤더슨.윌리엄 A. 애덤스 지음, 한숙기.김현주.박미혜 옮김 / 흐름출판 / 2025년 9월
평점 :
쉽지 않다. 설렁설렁 볼 수 있겠지 했다가 하나하나 짚어 가며 또 전공책처럼 시간 들여 읽었다.
'리더 한 사람의 성장과 정체가 조직 전체의 성패를 좌우한다, 리더가 멈추면 조직도 멈춘다', 책을 관통하는 메시지를 조금은 의심하기도 하지만 한발 물러나 깊게 생각해 보면 또 엄청나게 맞는 말이다. 조직의 역량은 리더의 역량을 능가하기 어렵다.
조직 성장을 위해서는 리더 개인의 발전과 성장이 분명 중요하지만, 그 발전과 성장은 조직 구성원에 대한 우월의식이나 아집을 바탕에 두어서는 안 된다. 리더가 모든 답과 모든 권한을 쥐고 있어야 하는 것도 아니고, 혼자 쥐고 있을 수도 없다. 리더의 성장에서 출발해 조직이 함께 성장하는 것이 이상이다.
저자들은 수십 년간 세계 굴지의 기업, 조직에 리더십 코칭을 수행해 온 전문가들이다. 현장에서 쌓아 온 실질적인 경험과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리더십의 효과성과 조직 성과·성장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있다.
그들은 리더십을 창의성 리더십과 반응성 리더십으로 나눈다. 창의성 리더십의 리더는 자기 성찰, 진정성, 관계 구축, 비전 제시로 집단적 역량을 끌어올리고 구성원의 잠재력을 확장한다고, 반응성 리더십의 리더는 통제, 과잉 성취, 타인의 기대 충족에 매몰되어 단기 성과에는 기여할 수 있지만 조직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질수록 결국 조직에 악영향을 미치며 한계를 드러낸다고 본다.
책은 반응성 리더에서 창의성 리더로 변화할 방법을 제안한다. 단순히 창의성 리더십은 긍정적, 반응성 리더십은 부정적이라 이분하며 한쪽에 치우쳐 설명하지 않고 각 리더십의 장단 분석, 각 유형의 리더들이 받는 평가, 변화의 계기와 결과 등을 수치, 사례를 들어 상세히 제시한다. 조직론에 심리학을 얹은 실례 분석이 설득력을 얻는다.
무엇보다 '개발 격차' 문제가 흥미로웠다. 승진으로 늘어나는 책임을 리더 개인의 성장 속도가 따라가지 못할 때, 과거에 해온 방식을 그대로 반복하면서 결국 자신과 조직 모두를 소진한다는 것. 그 격차를 깨고 궁극적으로 리더도 조직도 성장하기 위해서는 자기 성찰과 피드백 수용이 필수라는 관점에 동의한다.
읽기 어렵고 재미는 없었지만 읽으며 자주 고개 끄덕여졌다.
자신을 돌아보고 발전할 의욕이 있는 리더라면 읽고 도움받을 책이 아닐까 생각한다.
출판사(흐름출판)에서 도서를 지원 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
#책리뷰 #도서리뷰 #독후감 #서평 #서평단 #흐름출판 #리더십스케일업 #로버트앤더슨 #윌리엄애덤스 #한숙기 #김현주 #박미혜 #리더십책 #조직발전 #조직관리 #리더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