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아낸 김에, 즐겨볼까? - 암경험자의 다사다난 일상 회복 분투기
용석경 지음 / 샘터사 / 2025년 11월
평점 :
회사와 일이 제일 중요한 것처럼 살았다. 잦은 야근에도 남편과 아이 살뜰히 챙기고, 운동도 하고, 더 잘 살아 보겠다며 돈 공부도 했다.
그저 열심히 살던 마흔 살의 어느 날, 청천벽력 같은 소리를 들었다. 유방암이란다. 왜 하필 자신에게 암이 찾아온 건지 억울했지만 살아야 할 이유가 여럿이고 꼭 살고 싶은 마음으로 고통스러운 치료도 잘 견뎌냈다.
치료는 끝났지만 다시 예전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매일 현실의 벽에 부딪혔다. 항암치료로 짧아진 머리카락으로 사람들 만나기가 무서웠고, 휴직했던 회사에 복직하고 보니 직전 해의 근무 기간이 없어서 연차가 없다. 정기적으로 병원에 가야 하는데 연차가 없다.
나름 일 잘하는 에이스였는데 이전만큼 못 하는 것 같아 자괴감이 든다. 내가 (암 투병) 전에(는) 잘 나갔다는 안타까움을 담은 직장상사의 말이 가슴에 날카롭게 박힌다.
확 떨어진 체력에 기억력 저하, 피로감, 수술부위 통증 등 여러 후유증까지 겪느라 힘든 몸과 마음에 사회적 편견의 무게까지 얹어진다.
투병 이후 사회 복귀를 결심하고 무사히 복귀해 적응하기까지, 가족과 친구, 가까운 이들뿐만 아니라 글로 만난 블로그 이웃, 환자 모임에서 만난 이들, 모두의 공감과 응원, 격려가 큰 힘이 되었다는 작가.
암경험자로서 사회에 다시 발을 내디디면서 자신이 겪었던 두려움, 막막함을 담담히 고백하고 자신의 글이 암, 또 다른 병, 실연 등 각자의 아픔을 겪어내고서 '다시 살아가려는' 이들에게 힘이 되기를 바란단다.
관련기관 통계에 따르면 암환자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행히 의학 발달로 암환자의 생존율이 늘어나고 있지만 그 생존자들의 사회 복귀는 매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치료하느라 일을 그만뒀는데, 치료 후에 구직을 하려 하니 병력이 발목을 잡는다. 치료하느라, 돈 안 벌며 생활 꾸려가느라 돈을 많이 썼는데, 다시 돈을 벌 직장을 구하기가 너무나 어렵다. 휴직 후 복직한 직장에서는 전보다 업무 효율성이 떨어질 테고 병원 가느라 근태에 문제가 생길 테니 결국 동료들에게 피해를 줄 거라는 편견과 싸워야 한다.
일단 조직에 들어온 후엔 중범죄를 저지르지 않으면 잘리지 않는 직장에 다녔던 나는 암경험자 몇의 직장복귀를 목도했다. 이런저런 이유로 나부터도 직장에선 아파도 아픈 티 못 내고 살았으면서, 그들의 복귀를 보면서 그저 막연히, 가벼이, 그래도 이럴 땐 철밥통이 좋네, 라는 생각을 했다. 알게 모르게 겪었을 커리어에서의 자괴와 사람들의 편견 등 그들이 복귀 이후 견뎌냈어야 할 다른 모든 것에는 의미를 두지 못한 채.
무엇보다 그들은, 생과 사의 기로에서 힘겹게 병과 싸우다 살아 돌아온 이들이었는데, 심리적 막막함, 실재한 신체의 아픔, 살아있다는 안도... 헤아리지 못했다.
얼마나 막막할지 당신의 마음을 이해한다는 공감과 위로, 당신도 나처럼 괜찮아질 수 있을 거라는 응원에 더해 암환자에게 도움될 제도 등 실질적인 정보까지, 병 많고 아픔 많은 이 세상에서 환자에게도, 보호자에게도, 고통을 딛고 살아보려는 모든 이들에게도 꼭 필요한 책이 아닐까 싶다.
출판사(샘터)에서 도서를 지원 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후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