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스타실록 - 왕보다 유명한 조선 아이돌, SNS와 TV로 읽는 조선 역사 한국사 스타 시리즈
최설희 지음, 김영진 그림, 김태훈 감수 / 상상의집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 스타 실록 :: SNS와 TV로 읽는 조선역사


왕보다 유명한 조선 아이돌

글 최설희 그림 김영진 감수 김태훈
상상의집



 

 한국사 열풍을 힘입어 [조선왕조실록]이 역사학자들 만이 아닌 대중의 손에 들린것이
이제 익숙한 풍경이 되었지요.
그 연령이 점점 낮아져 아이들도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요,
조선의 유명한 주요 왕들을 다루고 있는 책자는 종종 접해보았지만,
조선 역대 왕들을 다 다루면서도,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쉽게 접근하는 책은 보기 어려웠지요.
그.런.데.
이번에 접한 이 [조선스타실록]은 느낌부터가 새롭습니다.
처음에는 조선왕조실록이라고 생각하지도 못했을정도로 파격적이랄까?
SNS와 TV로 읽는 조선 역사라니,
그것도 왕보다 유명한 조선 아이돌??
표지를 장식한 인물들의 포즈도 예사롭지 않은데...



 



차례를 보고 나서야
이 책이 조선왕조실록을 패러디(?)한 제목이구나 알게 되었다지요^^;;
조선 1대 태조부터 27대 순종까지
한명도 빠짐없이 왕의 이름들이 나와있었거든요.
책의 두께는 우리가 생각하는 압축된 실록 책 보다 얇은데 어떻게 이 분들을 담고 있을까 더 궁금해졌습니다.



 



조선 스타 실록을 시작하기 전에
책에만 나오는 독특한 장면이 나옵니다.
바로, 실록을 기록하는 사관과 왕의 대화인데요~
요즘 사용하는 카톡을 빗대어 '왕톡'을 공개하라는 사관의 요청 ㅎㅎ
왕이라면 거절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순순히 왕톡의 비밀번호도 알려주네요.
'조선왕조실록'도 그러했다고 합니다.
왕톡은 없었지만, 사관이 왕과 일거수 일투족을 함께하며 사초를 작성했다고 하지요.
살아생전에는 자신의 기록을 볼 수 없었기에
더욱 사실대로 올바로 기록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자, 그럼 본격적으로 조선의 스타들을 만나볼까요?
대표적인 스타들로 '왕'들이 나옵니다.

태조.
연관검색어, 주요사건, 업적, 가계도가 나오는데
평범하지 않지요?
간단한 말 속에 주요 내용들이 머리에 쏙쏙 들어옵니다.
주요 단어들과 도표로 정리한 것이 인상적이에요.



 



왜 SNS로 읽는 조선의 역사냐!
이 부분에서 선명히 드러나네요.
최영과 고려의 우왕, 이성계의 대화가 톡으로 나와있어요.
짧은 말, 에두르지 않은 간단명료한 표현,
거기에다가 이 대화를 보는 이들의 생각이 양쪽에 나와있어서
당시의 상황을 짧으면서도 강렬하게 각인시키네요.



 




왕들의 하루 일과,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전 대통령들의 이름이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어느시간대에 무얼했는가가 주요한 이슈가 되는 것을 보고
저는 옛날 왕들의 일과도 궁금했었거든요~
왕 개개인의 일과는 달랐겟지만,
세종대왕의 일과를 보여주는 표를 보니 인상적이었어요.
밤 12시에 잠이들어 새벽 5시에 일어나
공부하고 독서하고, 예를 갖춰 문안인사 드리고 관리들을 만나고,
하루 세끼 식사시간을 제외하고는
이 것이 반복되는 패턴이더라구요.
왕이라는 직업(?!)도 쉽지만은 않았겠구나..싶은 생각이 들었네요.
유명한 책벌레였던 세종대왕에겐 책읽는 시간이 휴식시간이었을지도 모르겠네요!



 



탕평책을 실시한 영조의 정책은
'탕평채'를 TV 프로그램의 한 장면처럼 보여주며 시각효과를 더해주었구요~



 




조선을 빛낸 것이 '왕'들 뿐만이 아니라, 당시대의 여러 인물들도 함께 나와있었는데요,
그 중에서 김홍도와 정선의 대화
지금의 톡에서 사진을 첨부하는 것 처럼 그림까지 첨부해서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나옵니다.
정말, 당시대에 지금과 같은 통신수단이 있었다면 어떠했을까요?
실록을 보관하기 위해 4부를 인쇄해 여러지역에 사고를 설치하지 않고
손톱만한 저장공간에 보관해도 되었다면...
^^
지금의 역사가 후대에는 또 어떻게 보여질지 궁금해지기도 하네요^^

조선왕조실록을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쉽고 재미있게 접근한 '조선 스타 실록'
아이와 함께 엄마가 읽어도 재미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