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나는 아이 - 2017 칼데콧 대상 수상작 스콜라 똑똑한 그림책 14
자바카 스텝토 지음, 이유리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1월
평점 :
절판


빛나는 아이
천재적인 젊은 예술가 장 미셸 바스키아

글,그림 자바카 스텝토, 옮김 이유리
스콜라

 
 

궁금했습니다.
2017년 칼데콧 대상을 받은 작품.
코레타 스콧 킹 상이라는 이름은 낯설지만, 그 곳에서도 대상을 받은 작품인
빛나는 아이.

그런데, 이 책에서 다루는 인물이
장 미셸 바스키아라는 젊은 예술가도 내겐 낯선 인물이었습니다.

어떤 책이기에 칼데콧 대상을 받은 걸까?
장 미셸 바스키아는 어떤 이일까?
책을 펼쳐 아이들과 함께 궁금증에 대한 답을 찾아 보았습니다.

 
 

본격적으로 책을 읽기 앞서
작가가 어린이들에게 당부하는 글이 있었습니다.
장 미셸 바스키아처럼 작가인 자바카 스텝토도
뉴욕시의 일부를 활용했다네요.
곳곳에서 주운 목재조각위에 그림을 그리는 것으로요.
또, 이 그림책 안에서 실제 바스키아의 작품은 없다고해요.
그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창작하거나 재해석한 그림이라고 하네요.

긴 준비호흡을 마치고,
이제 바스키아를 만나러 들어갑니다.

 
 

바스키아가  살고있는 곳은
미국 뉴욕시 브루클린.
아침부터 저녁까지
종이 더미에 파묻힌 채 근사한 그림을 그릴 때까지 잠도 자지 않고 그림을 그렸데요.

제 눈에는 아이의 낙서들로 보이는데
같이 보는 아이들은 벽과 책상에 놓인 그림들을 보고
멋지다고 이야기하네요.
해와 자동차와 건물들..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것을 그릴 수 있다는 것 , 몰두할 수있다는 것 자체가 멋진일이지요.

장 미셸이 그림을 그리게 된 것은 엄마 마틸드 덕분이래요.
직접 디자인해 옷을 만들고, 요리하고, 청소하고
잡지에 나오는 집처럼 멋지게 집을 꾸미고.
무엇보다도
아이와 함께 바닥에 엎드려 그림을 그리는 엄마.
이런 엄마의 모습은
장 미셸에게 그 누구보다도
큰 영향을 끼칩니다.

 
 

아이들이 길에서 하는 놀이도 예술이 될 수 있고,
우리가 하는 말과 태도도 예술이 될 수 있다는 것.

이런 생각을 가지게 이끌어준 것도 바로
엄마였지요.

 
 

엄마와 함께 시집을 읽고
미술관에 가서 가장 좋아하는 예술작품을 보고.
예술가와 예술가의 작품에 관한 이야기를 들으며
유명한 예술가가 되는 것의 의미를 배운 장 미셸.
피카소의 <게르니카> 앞에서
아이 장 미셸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요?
스페인 내전때 전투기가 게르니카 마을을 폭격할 당시, 사람과 동물들이 고통받는 모습을 그린 그림 <게르니카>.
예술작품을 통해 목소리를 내고
세상을 바꾸려는 정신을 담은 그림을 보며
바스키아도 자신의 그림에 그런 이야기를 담고 싶어했던게 아닐까요.

 
 
 

언제나 힘이 되어 줄것 같았던 엄마였는데,
어느날, 마음의 병이 든 엄마는
바스키아와 떨어져 살게 됩니다.
하지만 장 미셸은 자라는 내내
시간이 날 때마다 엄마를 찾아가 자신의 그림을 보여주지요.
그리고 언젠가 이 그림이 미술관에 걸리게 될 거라고 말하면서요!
(그리고, 정말 그렇게 되었지요!)

 
 

십 대의 어느날 집을 떠나 뉴욕시의 로어 이스트 사이드로 간 바스키아.
그곳에서 벽에 스프레이로 그림들을 그리지요.
SAMO라는 서명을 남기면서요.

 
 

사람들은 새롭고 독창적인 그의 작품을 좋아했고
그를
'빛나고, 길들여지지 않은, 천재적인 아이'로 불렀지요.
자기를 왕이라고 생각하며 그림에 왕관을 그리고,
자기가 존경하는 사람을 그릴 때에도 왕관을 그려 넣었지요.
그리고
자신을 예술의 세계로 소개해 준,
비록 마음의 병으로 함께 살지는 못했지만
바스키아의 마음 속에 엄마는 늘 여왕이었습니다.


새로운 책을 통해
낯선 이가 친근하게 느껴지게 되는 것.
그림책을 통해 아이들과 저는
장 미셸 바스키아라는 예술가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그에게 영향을 받은 작가 자바카 스텝토의 그림책을 통해서 말이죠.
스물일곱이라는 젊은 나이에 약물중독으로 숨을 거둔 그의 마지막이 안타깝지만
한 인물의 삶과 그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시간,
[빛나는 아이]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