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인의 슬픔을 마주할 때 내 슬픔도 끝난다 - 이미령의 위로하는 문학
이미령 지음 / 샘터사 / 2017년 9월
평점 :
타인의 슬픔을 마주할 때 내 슬픔도
끝난다
이미령의 위로하는 문학
존재하지 않는 타인에게 위로받는
시간
샘터
우리는 소설책을 왜 읽는걸까.
왜 베스트셀러 소설책에 눈이 가고
사람들은 그 책을 공감하며 읽는걸까.
이쿠. 답이 이미 나와버렸네.
공감.
위로.
나의 슬픔이 나만의 것이
아니었네..
소설 속 존재하지않는 타인에게 위로 받는 시간이 바로 책읽기 시간.
저자 이미령은 그 위로가 된 책들을 우리에게 다시
이야기해준다.
[어린왕자], [필경사 바틀비],[나무를 심은 사람] 등 읽어 본 책 제목이 나와 반갑고
또 [눈물은
왜 짠가], [파이이야기], [앵무새죽이기] 등 궁금했던 책 제목이 보여 또 좋았다.
얼마전까지 난 소설을 읽는것을 별로
달갑게 여기지않았다. 감정의 소모같이 느껴졌다고나 할까.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걸
알게되었다.
사람사는것을 배우고 풍부한 상식을 넓혀주면서 흥미롭기까지한 것이 소설이구나.
소설의 재발견이랄까. 거기에, 작가의 이야기처럼 '위로'까지 넣어본다.
작가가 책을 읽고
남긴 서평모음.
그렇다.
작가가 만난 책들을 이 책 작가의 렌즈로 새롭게 만난다.
그래서 한층 더 풍부하고, 외국작가의 시선을
우리 정서와 시대의 눈으로 접근하게한다.
시대를 뛰어넘는 깨달음을 만나기도 하고 말이다.
우선, 이 책은 재미있다.
쉽게
웃고 지나가는 재미가 아니라, 새로운 시각을 지닌 인물들을 만나는 즐거움이다.
그래서, 이번 추석과 같은 긴 연휴에 꼬리를 무는
독서를이어가기에 딱이다.
어른들이 읽어야하는 이야기 [어린왕자]에서부터,
명절에 어른들의 덕담속에 숨겨진 비수를
피하고만싶은 청춘들이 자신들의 삶을 투사할 만한 [미생],
사랑은 늙지않는다고 대신 이야기해주는 이야기 [콜레라
시대의 사랑],
이런 의사라면 정말 행복한사람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은 [행운아]
집 안에서 수 많은 인물을 만나고
생각하게된다.
작가가 이야기해주는 관점으로 소설을 보면서
마음을 같이 하기도하고
내 생각에는..하면서 반론을 달기도
하고
직접 소설을 펼쳐 보고싶게 만드는 책.
이 가을,
어떤 책을 읽을까 찾고 있다면
이미령작가의 서재안을 살짝
참고해 보시길.
그녀의 책 이야기를 듣다보면 어느새 이 가을에 어울리는 책이 들려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