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헬렌 켈러, 사흘만 볼 수 있다면 ㅣ 역사를 바꾼 인물들 12
황혜진 지음, 김미은 그림 / 보물창고 / 2017년 5월
평점 :
헬렌 켈러, 사흘만 볼 수 있다면
황혜진 글, 김미은 그림
보물창고
이 아이는 치료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아이를 포기하지 마십시오.
장애가 있는 아이일수록 교육이 더 필요합니다.
교육을 통해 훈련될 수 있으니까요.
아이 한 명을 키우기 위해서는 마을이 필요하다고 한다.
아무런 장애가 없는 아이가 그럴진데
어릴적 고열로 인해
보지도 듣지도 말하지도 못하게된 헬렌에게는 더욱 그러했다.
치료가 불가능하다는 말에 부모는 얼마나 절망했을까.
그러나 교육을 포기하지않은것에 감사하다.
우리가 익히 들어아는 헬렌켈러 여사를 이분들의 눈물없이는 만날 수 없었을 테니 말이다.
아픔을 겪어본이가 아픔을 더 잘 알고 같은 처지의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헬렌을 도와준 이들을 보면 그것이 확연히 드러난다.
전화기를 발명한 벨 ㅡ 그의 어머니도, 아내도 청각장애를 지니고있었다 ㅡ이 어린 헬렌을 만난것,
그리고 맹학교 교장선생님의 추천을 받아 헬렌을 가르치게된 앤 설리번도 어릴적 시력을 잃은적이 있던 이였다.
펌프의 물을 느끼며 물이라는 단어를 익히고 폭발적으로 학습에 흥미를 느낀 헬렌.
이후
맹 학교와 청각 장애아학교에서 프랑스어와 말하는법 까지 배운 그녀는 자신의 글을 쓰기에 이른다.
물론 들은것과 상상이 혼동되어 표절 시비에 휩싸이기도했지만, 그 난관을 지나고 한층 더 성숙할 수 있었다.
보고 들을 수 있지만, 보고 들을 수 있는 이들보다 훨씬더 풍부한 감정을 표현하는 헬렌.
마음에 다가오는 인상은 보고 듣는 것으로만 알 수 있는게 아니라는 그녀의 말이 뭉클하다.
그렇지. 그렇지...
당시 여성이 공부를 하고 대학에 진학한다고 하면 이상한 시선으로 보던 시절,
헬렌은 엄청난 노력을 들이며 1900년 9월, 20살에 레드 클리프 대학에 당당히입학했다.
그 안에서도 헬렌과 설리번을 보는 시선은 곱지않았다.
하지만, 문학교수의 소개로 만나게된 존 메이시의 도움을 받아 잡지에 자신의 글을 계속 실은 헬렌은
장애를 극복한 유명인 이상의, 수 많은 이들에게 영향력을 미치는 이가 되었다.
1936년 10월 20일
평생 헬렌의 그림자로 있어준 설리번 선생님이 일흔살의 나이로 영원히 눈을 감고말았다. 헬렌의 나이 쉰여섯.
그러나 헬렌은 사회의 연약한자들을 돕고 그들을 위해 글을쓰고 강연하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
그리고
헬렌 켈러의 유명한 글 ㅡ 사흘만 볼 수 있다면..
오늘도
'축복'을 누리고 살면서도
정작
다른 축복을 구하며 살고 있는 우리에게
사랑하는 이들을 '볼 수'있고, 원하는 것을 들을 수 있는 오늘이 참으로 귀하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이.
비가 오는 오늘,
빗소리를 들을 수 있고 볼 수 있어서 새삼 감사하다고 느끼게 되는 오후
감사한 오늘을 누리며, 내가 이 세상을 살면서 정말 보고 들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생각하게 하게 되는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