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아주 센 모기약이 발명된다면? 숨쉬는책공장 너른 아이 5
곽민수 글.그림 / 숨쉬는책공장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아주 센 모기약이 발명된다면?

 

곽민수 글, 그림

숨쉬는 책공장

 


오늘 아침에도 방에서 모기 한마리를 잡았다.

이 겨울에!

그렇다.

 올 해 여름에는 너무 더워서 모기가 없더니,

추운데도 불구하고 집에 난방을 해서 그런지, 모기가 한마리씩 보인다.

 

모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을까?


이야기가 펼쳐지는 배경이 되는 이 섬 사람들도 모기를 싫어하나보다.

섬 이름 자체가 '모기 싫어 섬'이니 말이다.

 

모기가 극성인 습한 여름철이되면,

어김없이 모기 살충제가 나온다.

이곳도 마찬가지 였다.

'똑똑한'사람들이 모여 아주아주 센 '초강력 모기약'을 만들었다.

 

완벽한 발명품이라고 자찬을 하면서!


그리고, 그 '완벽한 발명품'을 모기싫어섬 주민들에게 나눠준다.

 

과연, 모기들은 그 초강력 모기약앞에서 맥을 못추고 떨어졌다.

그런데, 문제는 그 다음이었다.


모기를 먹은 도마뱀이 꼼짝도 하지 않았다.

그 도마뱀을 고양이가 먹고,

고양이도...!

 

모기도 먹이사슬의 한 부분이고

커다란 순환속에서 인위적으로 영향을 미치면

우리가 생각지도 못한 폭풍으로

다시 사람에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이 그림책을 통해서도 볼 수 있었다.

 

그러면...

우리는 이제 모기약을 사용하면 안되는 것일까?

아이들의 답은 명쾌하다.

"엄마 , 이제 모기약 쓰지 말자!"

 

그런데, 엄마는 잠시 고민이 된다.

...

 

'모기싫어섬'에서 '완벽한 발명품'때문에 겪은 어려움의 기억이 가시기도 전에

'똑똑한'사람들은 또다른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

가습기 살균제때문에 피해에 놀란것이 얼마되지 않은것 같은데

같은 성분이 버젓이

치약과 샴푸등 일상용품에 들어있었다는게 드러났다.

 

왜 우리는 아이들처럼 명쾌하게 답을 내리고 바로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걸까.

 

 

아주 작은 구성원이라도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그것이 인위적이고 해로운것임에도

여전히 미련을 버리지 못하는 어른들을 보게하는 그림책

[아주아주 센 모기약이 발명된다면?] 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