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미래는 늘 남에게만 보이는가 - 비즈니스 리더 11인에게 배우는 논리를 넘어서는 직관의 힘
다카노 켄이치 지음, 박재현 옮김 / 샘터사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미래는 늘 남에게만 보이는가

_비지니스 리더 11인에게 배우는 논리를 넘어서는 직관의 힘

 

다카노 켄이치 지음, 박재현 옮김

샘터

 

 

시점.

세계관이라 보통 지칭하는 말.

 

어떤 관점을 가지고 살아가는 가?

 

일상의 분주함속에서

매일매일을 근근이 살아가는 이들에게

미래를 보는 관점을 이야기하는 건 사치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의 시점을 바꿀 때

보여지는 현실과 대처하는 방법이 바뀌게 되니

오히려

개미처럼 살아가는 이들에게 더 필요한 것이

미래를 보는 안목일 것이다.

 

그런데

미래학자도 아닌데,

미래를 어떻게 예측하고 대응해간다는 말인가?

 

이 책에서는 비즈니스 리더 11인의 시점을 살펴보며

그들이 가진, 아니, 터득하고 배운 시점을

소개하고 있다.


구글의 창시자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의 시점,

소프트 뱅크 손정의의 시점,

애플의 스티브 잡스의 시점,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의 시점 등

시대를 내다보며 전 세계를 움직이는 이들이 어떤 관점에서 일을 시작했는지 보게한다.


여기서 언급하는 천재들의 공통접은

우연히 발견하게 된 어떤것에 의지한 것이라기 보다,

자신의 의지로 자신의 시점을 바꿨다는데 공통점을 찾는다.

노력을 통해 새로운 세계관을 발견했다는 것!

 

누구나 새로운 관점을 가질 수 있다는 말!

각 비지니스 리더의 시점을 소개하면서

그들이 이뤄낸 성과와 더불어, 새롭게 접근한 방식도 이야기하고 있는 책.

그들의 관점을 연습할 수 있도록 중간중간에 연습문제

- 답이 정해진 것은 아니다. 물론, 답이 있는것(?) 도 있지만, 생각해보는 그 자체가 발상의 전환을 가져온다 -

도 제시하며

마치, 강연장에서 강의를 들으며 질문에 대한 답변도 하는 느낌을 받는 진행방식이다.

 

시야를 넓히는 방향은

위에 나온 도식과 같다.

눈에 보이는것에서 보이지 않는것으로,

경험한 것에서 경험하지 않은것으로,

과거에서 미래로,

상식 안에서 상식 밖으로,

자신의 내면에서 타인의 내면으로.

 

말은 쉽지만 '그게 어떻게 하라는 건데?!' 라고 생각이 되시는 분들께

책을 권하고 싶다.

 

일단,

재미있다.

 

구글 사이트를 보면,

네이버나 야후 등의 포털사이트와는 달리

정보가 펼쳐져 있는것이 아니라 달랑 입력창 하나만 있는 것이 낯설었는데

그 이유가

사업자가 제공하는 정보가 아닌,

소비자가 주체가 되어 원하는 정보를 찾는 방식을 만든것이라는데

아하! 싶었다.

중요한 정보가 담긴 논문이, 다른 논문에 인용되면 참고문헌에 많이 언급되는 것처럼,

정보의 근원, 정보에 관한 정보(메타 정보)를 쥐고 있는 것이 구글의 강점이었다.

그래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찾아주는 시스템!

보이지 않는 뇌의 시스템이 바로 이런것이라는데

또한번 감탄.

우리뇌의 80퍼센트는 무의식 중에서도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

 

읽으면 읽을 수록 흥미롭다.

 

*

"잘 생각해보면 당연한 일이지만

아무도 하지 않은 일이었다."

 

마지막에 나오는 말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생각해보면 그렇게 연결되는 구나 싶은데,

생각을 행동으로 시도한 사람이 시대를 앞선 사람이 되지 않았는가.

 

산업혁명에서 정보혁명으로,

자연과학에서 인간과학으로,

대기업에서 개인으로의 권력이동,

글로벌한 에코시스템의 형성,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비지니스 모델 변혁,

업계의 울타리를 넘는 냉혹한 싸움.

 

비지니스 환경이 변하고 있다.

종래의 시점에 머물러서는 안된다고, 위험하다고 말한다.

 

자신만의 세계관을 발견하기 위한 여행을 제안하는 저자의 말에 수긍이 간다면,

또,

지금 비지니스 세계를 이끄는 리더들의 시점을 이해하고 싶은 이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