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은 언제나 우리의 친구 레인보우 시리즈 3
사라 페르난데스.소니아 로익 지음, 최서윤 옮김, 정수영 감수 / 놀이터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은 언제나 우리의 친구

사라 페르난데스 글, 그림 소니아 로익 글, 최서윤 옮김

정수영(국립수목원) 감수

놀이터


 

이 책을 손에 든 것은 '봄이 다가오네! 아이들이랑 숲에 가야지!'하는 계획이 있었기에 눈길이 간 것도 있지만, 그보다 띠지에 적힌 이 문구 때문이었습니다.

' 한 권으로 잘 짜인 제대로 된 숲 설명서'

국립수목원에 계신 선생님께서 아이들을 대상으로 나온 책에 이런 평을 해주셨다면, 쉽게 적힌 개론서로 봐도 무방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였지요. 그리고, 정말, 이 책은 숲의 백과사전과 같이 다양한 분야로 접근해서 숲의 이모저모를 생각하고 볼 수 있게 해 주는 책이었습니다.

 

'숲은 언제나 우리를 기다려'

이 책 속에는 이런 소제목이 18개가 들어있습니다. (시작과 마치는 글을 제외하고 말이죠.)

그 각각의 제목이 우리가 숲을 어떤 시각으로 보면 좋을지 제시해주는 발문들이었어요.

'숲은 모두 달라', '나무는 모두 제각각', '목재로 만나는 나무의 삶','우리 곁에 있는 숲'이런 식으로 말이지요.

그래서, 이 책은 처음부터 차근차근 읽어도 좋지만, 읽고 싶은 제목부터 펼쳐서 읽어도 무방한 책이었어요.

 

저자인 사라와 소니아, 그리고 숲 산책에서 만났다는 실비아가 이 책 속에서 등장해 이야기를 이끌어갑니다.

 

'숲은 모두 달라'라는 파트에서는 다양한 숲을 설명하면서, 나무가 움직인다는 이야기도 적혀있었어요.

나무가 움직인다고? 하면 이상하게 여겨지지만, 지구의 기온이 바뀌면서 나무의 씨앗이 따뜻한 지역에서만 싹을 틔우면서 결국 나무가 움직인것 처럼 되었다는 말이었어요. 지금은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또 다시 나무들이 이동하기 시작했다는데, 사과 재배지역이 점차 강원도쪽으로 올라온다는 이야기를 떠올리니 정말 그렇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숲은 멀리서 보면 같은 모습인 듯 하지만 그 모습을 가까이서 보면 각각 저마다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치 사람과 같지요! 어떤 사회라고 지칭하면 떠오르는 모습이 있지만, 들여다 보면 각기 다른 형태로 살아가는 서로다른 모습의 사람들이 있는 것 처럼요.

겨울잠을 자는 동물만 있는 것이 아니라, 겨울잠을 자는 나무이야기, 동물들의 먹이가 되는 나무이기에 동물들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아랫쪽 잎사귀에 가시가 있다는 이야기. 호랑가시나무를 보게 되면 더 자세히 봐야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뿌리가 깊어야만 좋은 나무(?)라고 생각했는데, 흙에 영양분이 많은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나무는 뿌리를 깊게 내리지 않아도 크게 잘 자라는 것이란 것도, 또 그 잎이 매끈해서 빗물이 잘 튕겨나가는 것을 우산으로 표현한것도 기발했어요. 담고있는 글도, 그림도 호기심을 자극하면서도 재치있는 책이었지요.

자연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영향을 주고 받는다는 말일거에요. 그와 관련된 부분도 다루고 있었어요. 요즘처럼 건조한 날씨에 산불에 관한 소식을 종종 접하곤 하는데, 숲에게 산불이란 모든것이 한번에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이에요. 또한 숲과 함께 살아가기 위한 다양한 방법도 이야기하고 있었어요. 지속 가능하게 관리되고 해충이 없는 숲에서나온 목재로 만든 제품을 쓰는 것도 숲을 위해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일이라는 것도 보게 되었지요. 또 숲에 관해 알고 있는 것을 친구에게 알려주는 것도 숲을 지키라는 것이라는 것도요. 단, 멋진 장소를 알게되면 - 둥지나 굴, 보호해야 할 동식물 등 - 그것만은 알려주지 말라고 이야기해주네요.

숲을 사랑하는 사람이 자신이 알게 되고, 오랜 세월 숲과 관련된 축적된 지식을 아이들의 눈높이로 보기 쉽고 알기 쉽게 전해주는 책. 그래서, 이 글을 읽는 이들도 자신들과 같이 숲을 알고 사랑하고 아껴주길 바라는 마음이 전해지는 책 《숲은 언제나 우리의 친구》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