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는 반짝반짝 요리조리 사이언스키즈 12
세실 쥐글라.잭 기샤르 지음, 로랑 시몽 그림, 김세은 옮김 / 아름다운사람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리는 반짝반짝 _ 요리조리 사이언스키즈12

글 세실 쥐글라, 잭 기샤르 그림 로랑 시몽 옮김 김세은

아름다운사람들

 

프랑스 150년 전통 어린이 출판사 Nathan이 내놓은 STEM 과학 시리즈! 요리조리 사이언스키즈 12번째 책을 만났습니다.

바로, 《유리는 반짝반짝》

우리 생활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유리. 가장 가까이는 물을 마시고 음료를 따라 마시는 컵이 유리로 되어 있지요.

반짝반짝 유리는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을까요? 또 어떤 기발한 실험과 연결될까요? 아이와 함께 책을 펼쳐보았어요.





 

 

관찰과 체험은 과학을 배우고 이해하는 최고의 방법이라 말하는 저자의 말처럼, 이 책은 이론 뿐 아니라 다양한 실험을 제시하면서 아이들이 주제에 대한 지식을 몸으로 느끼게 도와주고 있었어요. 시작은 유리에 대한 호기심과 관찰을 유도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유리가 가진 성질이 무엇인지 주어진 단어 속에서 찾게 하고, 유리에 대해 기본 지식을 얻은 다음 유리 제품 중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유리컵으로 할 수 있는 다양한 실험을 제시하고 있었어요.

앞 쪽에 있는 실험 중에 '유리잔으로 촛불 끄기'가 있었어요. 첫째는 이 실험을 해 봤다고 자신만만. 동생들은 호기심 어린 눈으로 같이 보았어요.

준비물은 작은 초와 불을 켤 도구, 크기가 다른 유리잔 두 개. 촛불을 켜서 유리잔으로 불을 끄는 실험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초에 불을 붙이고 유리잔을 덮으니 시간이 지나자 불이 저절로 꺼졌어요. 그런데, 큰 컵보다 작은 유리컵으로 덮었던 초가 더 빨리 불이 꺼졌어요. 왜그럴까요?

 

그 이유에 대한 답도 책에서 찾아볼 수 있었어요. 촛불이 타려면 공기 중의 산소가 필요한데, 유리잔 속에 있던 산소를 촛불이 다 써버렸기 때문이죠. 컵의 크기가 작으면 산소의 양도 적을테니, 촛불이 빨리 꺼진 것이겠지요!

수증기가 액체가 되어 유리잔 벽에 김으로 맺힌것도 볼 수 있었어요. 사실, 촛불이 꺼졌구나~하고 지나갈 수 있는 실험이었는데 수증기도 관찰하고 무엇보다도 이 실험이 '유리잔 속에 산소가 있어야 촛불이 탈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 했다'고 이야기해주어서, 무엇인가를 증명하는 실험이라는 생각도 가질 수 있게 해 주어서 좋았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실험이 있었어요. 그 중 하나는 이 전에 접해보았던 '유리잔으로 화살표 바꾸기'. 전에도 신기하다~하며 해본 실험이지만, 화살표가 그려진 종이를 물이 가득 담긴 유리잔 쪽으로 밀었다 당겼다 하면 돋보기로 보듯 화살표가 커졌다 작아졌다하고, 또 이것이 유리잔과 물을 이용한 돋보기, 광학과도 연결된다는 것을 짚어주니 마치 옆에서 과학 선생님이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이어주는 느낌이 들었어요.

간단하고 보기 쉽게 제시되어 있으면서도 주변에서 쉽게 접하는 물체를 대상으로 알차게 과학을 접할 수 있게 해주는 책

요리조리 사이언스키즈 시리즈 12번째 책 《유리는 반짝반짝》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